섹션

KT, 위약금제 도입 보류… 아이폰5 가입자 노린 듯

[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KT가 다음달 도입을 목표로 추진하던 '요금약정할인제도(위약금제)'를 잠정 보류했다.

다음달 애플의 아이폰5가 출시되면 SK텔레콤과 유치경쟁을 펼쳐야 하는데, 이미 위약금제를 도입한 SK텔레콤과 차별화를 위해서 도입을 보류했다는 분석이다.

KT 관계자는 "해지 시 위약금이 발생하는 요금 약정 할인 제도를 12월부터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연내에는 이를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어 "이 제도의 도입 시기는 아직 확정하지 않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요금약정할인제도는 1∼2년간 가입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요금을 할인해 주되 약정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해지할 경우에는 사용기간 동안 할인받았던 요금을 물어내야 하는 제도다.

위약금 제도는 가입자들의 무분별한 중도 해지를 줄이고 보조금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이통사들의 판단이지만 소비자들이 위약금에 반감을 갖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이런 가운데 애플의 아이폰5가 다음달 초 KT와 SK텔레콤에서 함께 출시될 전망이어서 양사가 아이폰5 고객 유치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인데 KT가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약정할인제 도입을 보류한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달 초부터 단말기 자급제 가입자뿐 아니라 대리점을 통해 단말기를 산 가입자에게도 이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아이폰5 경쟁에서 SK텔레콤과 차별화하기 위해 KT가 약정할인제 도입 시기를 조정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다음달이나 내년 1월께 약정할인제를 도입할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