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광주형 일자리 투자에 현대차 노조 반발.."협약시 경영진 고소·고발"

현대자동차 광주 완성차 공장 설립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현대차 노조가 광주시와의 투자협약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9일 예정됐던 완성차 공장 투자 협약식이 무기한 연기됐다. 현대차 노조는 협약하면 사측을 고소·고발하겠다고 했다. 연기된 광주형 일자리의 협약 조인식이 진행되면 정의선 부회장과 경영진에 대해 법적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배구조개편 재추진의 우호적인 정치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광주형 일자리를 악용하고 있다고 노조는 보고 있다. 이런 상황으로 공장 설립이 무산되는거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그간 광주시와 현대차는 합작법인 설립과 차량 생산 방식 등에 대해 논의해오던 상황이었다.

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사측이 내년부터 울산공장에서 양산 예정인 신차나 다른 차량 물량 일부를 제3자인 광주형 위탁공장에 투자해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것은 업무상 배임이자 신의성실 원칙에 위반한다"며 "단체협약 상 신차종 개발 생산을 외주를 줄 때도 노사공동 심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반대에도 사측이 광주형 위탁공장에 투자를 하는 것은 올 해 임금협상에서 사측이 노조에 선전포고를 한 것"이라며 "사측이 협약서에 사인하면 즉각 고소·고발하겠다"고 했다.

이에 현대차는 광주시와의 협상을 미뤘고 노무 담당자들이 울산으로 향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처음으로 자치단체와 대기업의 합작법인을 말한다.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임금을 기존 업계의 절반으로 줄이는 대신 일자리를 늘리자는 정책이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핵심인 중규직 반값연봉 추진으로 전체 노동자 임금의 하향 평준화를 초래해 강력히 우려한다"며 "현대차 경영위기의 가속화를 초래하고 국내 자동차 산업의 중복 투자와 과당 경쟁을 불러 올 것"이라고 했다.

현대차는 2대 주주로 참여해 지분참여자 초기 투자금 2800억원의 19% 수준인 530억원가량을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공장에서는 1000cc 미만인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레오니스'를 생산할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노조는 사측이 기존 공장에서 생산하지 않고 겹치지 않는 차종이라 노조 협의가 필요치 않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현대차 단체협약 제41조(신기술 도입 및 공장이전, 기업 양수, 양도) 2항은 신 프로젝트 개발의 경우인 생산방식의 변경(외주)의 경우도 별도 회의록에 신차종 개발을 명시해 노사공동위에서 심의의결하게 돼 있다고 했다.

노조는 현실적인 한계와 실패에 대해 언급했다. 광주시가 독자생존 능력인 차량 연구개발 능력과 생산기술이 전무하며, 광주시가 위탁생산 판매 차종의 판매부진과 수익성 악화로 적자나 자본 잠식 사태가 발생해 장기간 휴업불능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고 했다.

노조는 "특히, 정 부회장과 경영진이 현대차가 신차종을 개발해 2019년부터 울산 1공장에서 코나 SUV 플랫폼을 이용해 양산 예정인 경차 SUV 신차나 또 다른 차량을 제3자인 광주형 위탁공장에 일부 지분으로 중복 투자해 물량 빼돌리기를 하려 한다"며 "이를 통해 현대차에 영업상 손해를 끼치는 것은 형법상 업무상 배임죄와 민법상 신의성실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중대범죄이고 불법행위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노조 반발이 있으나 협상을 계속해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광주 빛그린산단 실사<사진=연합뉴스>
▲현대차, 광주 빛그린산단 실사<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