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못한데 대해 '중국이 합의를 깨고 다시 협상하려고 했다'며 중국 책임론을 제기하면서 현재 미국이 원하는 바로 그 지점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관세' 카드를 거듭 거론하며 대중 압박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중국과 관련해 우리가 있기를 원하는 바로 그 지점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억하라. 그들(중국)이 우리와의 합의를 파기했으며 다시 협상을 하려고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으로부터 관세로 수백억 달러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상품 구매자들은 미국 내에서 구하거나(이상적인 상황), 아니면 비관세 국가들로부터 사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이 더 이상 우리의 위대한 애국자 농부들(농업)에게 쓰지 않을지 모를 돈을 지출할 것"이라며 "그 식량을 전 세계 나라들의 굶주린 사람들에게 나눠주겠다! 매우 좋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 금액이 전체 관세 수입에 비교해서는 작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도 "우리가 확보하게 될 1천억 달러가 넘는 관세로 우리의 훌륭한 농부들로부터 중국이 사들인 것보다 더 큰 규모의 농산물을 구매, 인도적 지원의 형태로 가난하고 굶주린 나라들에 보낼 것이다. 이제 굶주린 나라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관세수입으로 농산물을 사들여 해외 빈곤층에 대한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트윗은 미중 무역협상이 지난 10일 일단 '노딜' 로 끝난 데 대한 책임을 '중국의 합의 번복'으로 돌리면서 관세 지렛대가 있는 한 미국으로선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내세워 대중 압박을 강화하려는 차원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에도 트위터 글을 통해 "중국은 최근 협상에서 너무 심하게 당하고 있어서 2020년 차기 대선 무렵까지 기다리는 게 낫겠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내 두 번째 임기에 협상이 진행된다면 (미중 간의) 합의는 중국에 훨씬 더 나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미국은 무역협상 도중인 10일 오전 0시 1분(미국 동부시간)을 기해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했고, 3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도 같은 세율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