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MS, 코로나로 팀즈 사용자 급증에 "언택트 사업 강화"

[재경일보=윤근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언택트 사업 기회가 커지자 언택트 개발 환경 강화 방침을 밝혔다.

28일 한국마이크로소프트(한국MS)에 따르면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이달 19일 MS 팀즈로 온라인 브리핑을 열어 MS 연례 개발자회의 '빌드(Build) 2020'를 가졌다. 빌드에는 매년 1만여명이 참석하는데, 올해 원격 빌드에는 10만여명이 사전 등록했다.

나델라 CEO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언택트(비대면) 시대가 도래하면서 클라우드 플랫폼이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전 세계에서 화상회의·원격수업 등에 쓰고 있는 MS 팀즈는 화상회의·원격수업 등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사용자 수가 2019년 11월 2천만명이었는데, 올해 3월 4천400만명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7천500만명을 넘었다.

나델라 CEO는 "팀즈 일일 최대 접속자는 2억명 이상을 기록했고, 하루 동안 팀즈를 통해 진행된 미팅의 시간을 모두 더하면 41억분에 달했다"면서 "팀즈는 화상회의 솔루션 기능을 기본으로, 언택트 환경의 협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말했다.

나델라 CEO는 언택트 시대에 개발자들이 활용하기 좋은 MS의 기술을 설명하는 데에 발표 초점을 맞췄다.

코드스페이스는 개발 환경(IDE)인데, 개발에 필요한 에디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아도 클라우드 환경에서 에디터를 불러올 수 있도록 돕는다. 개발자가 언제 어디서든 클라우드에만 접속하면 개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인 기트허브에서 활동하는 개발자는 지난해 3천600만명에서 올해 5천만명으로 증가했다.

MS는 개발자들을 위해 '파워토이즈'와 '팬시 존' 기능도 윈도에 추가했다고 전했다. 파워토이즈는 필요한 앱이나 문서를 빠르게 검색하도록 돕는 툴이다. 팬시 존은 윈도 창 영역을 미리 지정해둘 수 있어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쓰는 개발자들의 일손을 거든다.

나델라 CEO는 개발자만큼 컴퓨터를 잘 다루는 일반 이용자들이 앱을 만들거나 작업을 자동화하도록 돕는 '파워플랫폼' 툴도 기능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김영욱 부장은 "한국 MS도 인공지능(MS)·클라우드 기술로 우리나라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면서 "기술 격차 해소, 일자리 창출, 사회적 영향력 확장 등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