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윤근일 기자] 정부는 22일 제12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열고 국내 미디어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기 위해 콘텐츠 및 플랫폼 업체가 참여하는 'OTT 콘텐츠 글로벌 상생협의회'를 신설한다.
해외수출하는 국산 스마트폰에 추천 방식으로 국내 미디어 플랫폼을 노출하도록 한다.
해외 사업자에 대해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내 대리인 지정을 의무화한다.
콘텐츠 제작과 유통의 불공정 관행을 개선하고, 종사자의 노동 환경을 개선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
2024년까지 1조원 이상 규모로 문화 콘텐츠 펀드를 조성해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동시에 OTT 등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늘린다.
영화와 방송 콘텐츠에 적용되는 제작비 세액공제를 OTT 유통 온라인 비디오물까지 확대한다.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인공지능(AI) 기반 콘텐츠 제작·유통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또한 청년 제작자의 아이디어 구현을 지원하는 '1인 미디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1인 미디어 창작자 발굴과 육성을 확대한다.
이와 함꼐 정부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의 시장 점유율 규제를 폐지하고 방송 이용요금 승인제를 신고제로 전환한다.
정부는 이번 방안의 배경에 대해 "세계 주요 미디어 기업은 전략적 인수합병(M&A)과 콘텐츠 투자 확대로 영향력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으나, 국내 업계는 칸막이식 규제 환경과 글로벌 미디어와의 불공정 경쟁 여건으로 어려움을 호소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2022년까지 ▲ 국내 미디어 시장 규모 10조원 ▲ 콘텐츠 수출액 134억2천만달러(약 16조2천억원) ▲ 글로벌 플랫폼 기업 최소 5개를 목표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부처 간 협력으로 국내 미디어 산업이 질적·양적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며 "젊은 창작자와 스타트업의 도전을 뒷받침하고 국내 미디어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클 수 있게 적극적으로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