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윤근일 기자] 통신업계가 3년간 25조원을 공격적으로 투자해 2022년 상반기 5세대(5G) 이동통신을 전국망으로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 CEO와 가진 간담회서 디지털 뉴딜 이행을 위한 5G 기반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최기영 장관은 "통신 4사가 지난해 9조6천억원을 투자하는 등 전년보다 50% 이상 투자 규모를 늘려 5G 품질이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체감품질 개선과 이용자 편익 증진을 위해 더욱 분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통신사 CEO들은 5G 품질이 초기 단계라는 데 공감하고, 이에 따른 공격적 투자를 계획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브리핑에서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 5G 품질이 좋지만, 아직 초기인 만큼 국민 눈높이에 맞는 품질을 확보하자는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SK브로드밴드까지 포함한 통신 4사가 5G 기반 조기 구축을 위해 2022년까지 3년간 유·무선 인프라 등에 24조5천억~25조7천억원(잠정)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이르면 2022년 상반기까지 85개시 행정동·주요 읍면 중심부, 다중이용시설·공공인프라 등 5G 전국망을 구축하도록 최대한 노력하기로 했다
올해는 서울과 6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다중이용시설 2천여개, 수도권 2·9호선 지하철 등과 비수도권 지하철, 고속도로 주요 32개 구간 등에 5G망을 구축한다.
내년에는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을 중심으로 다중이용시설 4천여개, 지하철·KTX·SRT 등 전체 철도역사, 20여개 고속도로 등에 5G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2년에는 85개시 행정동과 읍면의 중소 다중이용시설, ITX 새마을호 등 철도역사, 전체 고속도로까지 5G망을 구축해 사실상 전국에서 원활한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업계는 농어촌 외곽 지역의 5G망 구축에 공동 투자라는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초고속·초저지연 5G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한 5G 단독모드(SA) 서비스는 하반기 상용화를 시작하기로 했다. 28㎓ 주파수 대역도 연내 시범사업에 돌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