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5G 리더십에 지적되는 28㎓ 대역, 연내 시범사업 돌입

[재경일보=윤근일 기자] 초고속·초저지연 5G를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28㎓ 대역이 연내 시범사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또한 5G 단독모드(SA) 서비스는 하반기 상용화에 들어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최기영 장관 주제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디지털 뉴딜 이행을 위한 5G 기반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 방안 논의에서 이 같은 방안들을 논의했다.

이 중 28㎓는 초고속·초저지연에 5G 기술 리더십에 있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5G

에릭슨엘지 권경인 CTO(전무)는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자사 5G 기자간담회에서 "5G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28㎓ 대역 상용화가 필수적"이라며 "국내 통신사들이 5G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조속히 28㎓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CTO는 "28㎓가 상용화돼야 5G의 특성인 초고속, 초저지연이 가능하다"며 "현재 미국에서 28㎓가 상용화됐고 일본도 1∼2개월 내로 28㎓를 상용화할 예정이어서 한국의 조속한 상용화 의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5G는 LTE와 장비를 일부 공유하는 NSA(비단독모드) 방식에, 3.5㎓ 대역만 이용한다.

원래는 올해 안에 5G 장비만 이용하는 SA(단독모드) 방식과 초고주파수 대역인 28㎓ 대역을 상용화한다는 방침이었으나, 투자가 지연됐다.

3.5㎓ 대역은 LTE보다 3∼4배 빠른 정도에 불과하며 NSA 방식은 LTE와 장비를 일부 공유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지연이 발생한다.

28㎓ 대역과 SA 방식의 5G 네트워크는 속도가 LTE 대비 최대 20배(20Gbps)까지 빠르며, 지연 속도가 1ms(0.001초)까지 낮춰져 필수적인 요소로 꼽힌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5G(세대) 이동통신 28㎓ 통합형 기지국에서 최대 다운로드 속도 8.5Gbps가 기록되기도 했다.

한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까지 포함한 통신 4사가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위해 2022년까지 3년간 유·무선 인프라 등에 24조5천억~25조7천억 원(잠정)을 투자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