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동통신사들의 도전 ‘탈통신·플랫폼 기업으로’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통신서비스 중심의 사업 구조에 벗어나기 위한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KT는 통신 기업을 넘어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LG유플러스는 통신사 중 유일하게 산업용 로봇 박람회에 참가한다. 

◆ 구현모 "2025년 매출 절반은 비통신이 차지할 것"

KT 구현모 대표는 28일 취임 7개월 만에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탈(脫)통신중심'과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을 비전으로 내놨다.

그는 이날 열린 '디지털-X 서밋 2020' 행사에서 기자들에게 "2025년 전체 매출은 20조원, 이 중 통신과 비통신의 비중은 5대 5가 되는 것이 목표"라며 며 "통신 기반의 플랫폼 기업으로서 고객 삶의 변화와 타 산업 혁신을 이끄는 플랫폼이 되겠다는 것이 비전"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서 KT의 역량과 경험, 차별화 포인트로는 미디어와 금융, ABC(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Cloud)) 등을 꼽았다.

구 대표는 "BC카드는 데이터 회사"라며 "넘버1 결제 플랫폼과 KT가 만나서 금융 그 이상의 가치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ABC 산업의 실제 사업성과 관련해 "KT는 통신·금융·소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기술과 데이터, 고객기반 3개를 합치면 돈이 된다"고 기대했다.

KT 관계자는 "KT가 디지털 혁신의 중요한 열쇠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이른바 'ABC' 중심의 차별화된 플랫폼으로 본격적인 B2B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KT 구현모 대표가 28일 '경영진 간담회'에서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변화한다는 KT 성장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KT 제공

◆ 로봇전시회서 다양한 산업용 솔루션 보인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통신사 중 유일하게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로봇 박람회인 '2020 로보월드' 전시회에 참가한다. 5G 통신 기반의 무인지게차∙물류 로봇 등 다양한 산업용 솔루션을 글로벌 지게차 전문 업체 클라크, 물류 자동화 업체 케이엔, AI기반 물류 솔루션 업체 무샤이니 등 주요 파트너사와 함께 선보인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LG유플러스만의 차별화된 5G 전용망 기반 물류 설비 솔루션을 알리고자 로보월드에 참가하게 됐다"며, "산업 현장에서 유용한 기업용 5G 서비스를 고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박정호 "T가 텔레콤? 테크·투모로우!"

앞서 SK텔레콤 박정호 사장은 사(社)명에 있는 텔레콤의 T가 이제는 다른 의미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전날 ICT 멀티플렉스 'T팩토리' 소개 온라인 간담회에서 "지금까지 SK텔레콤의 브랜드로서 T는 그동안 굉장히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다분히 이동통신으로서 T의 의미가 많았다"며 "우리가 만들려는 T는 뉴 ICT를 지향하는 T"라고 강조했다.

'T팩토리'와 관련해서도 "T팩토리의 T는 SK텔레콤의 T가 아니라 테크놀로지, 투모로우의 T"라고 박정호 사장은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이달 28일부터 31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되는 ‘2020 로보월드’ 전시회에 참가한다. 사진은 5G 무인지게차와 물류로봇을 시연중인 LG유플러스 전시 부스의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 3분기 장기 이익 성장국면 들어선 통신사들

하나금융투자는 11월 통신서비스 업종의 투자 매력도를 매우 높음으로 유지한다고 28일 밝혔다. 하나금융투자는 3분기 기점으로 국내 통신산업이 장기 이익 성장 국면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이동전화 ARPU 상승 ▲통신 요금 규제 강도 완화 ▲유력해진 11월 3G/4G 주파수 재할당 가격 인하 ▲정부의 디지털 뉴딜 ▲실적 개선 및 규제 완화로 기대되는 통신사 리레이팅 등을 예상했다.

 

그러면서 하나금융투자는 적극 매수를 추천하는 통신사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를 지목했다. 11월 투자 매력도가 높은 통신사로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 순으로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