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거래량, 직전월 比 6.2% 하락, 서울만 유일하게 올라.. 5개 지역 외에는 거래금액 하락
- 상가·사무실 거래량, 거래금액 동반↓.. 거래량 충북, 거래금액은 울산이 감소율 1위
- 오피스텔 전월 대비 거래량 12.1%, 거래금액 9.9% 감소
지난 4월 전국 부동산 매매 시장이 전월 대비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서울 아파트 거래는 증가했다.
▲전국 부동산 시장, 전월 대비 거래량 3.1%, 거래액 4.1% 하락
상업용 부동산 전문 기업 부동산플래닛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3일 기준)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 4월 전국에서 발생한 부동산 매매 거래는 총 9만4585건으로 3월(9만7642건)보다 3.1%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거래금액은 3월 대비 4.1% 감소한 30조2426억원이었다.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전달에 비해 소폭 줄었으나,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거래량은 2.9%, 거래금액은 6% 각각 증가했다.
유형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오피스텔이 전월 대비 12.1% 줄면서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아파트 6.2%, 연립·다세대 6%, 상가·사무실 3%, 상업·업무용 빌딩 0.1% 각각 줄었다.
반면 공장·창고 등(집합)은 전월 대비 10.7% 증가했다.
공장·창고 등(일반) 5.5%, 단독·다가구 주택 0.9%, 토지 0.4% 각각 거래량이 늘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상업·업무용 빌딩이 34.5%, 상가·사무실 33.5% 등 각각 크게 하락했다.
이어 오피스텔(-9.9%), 연립·다세대(-3.4%), 아파트(-0.8%) 등도 감소했다.
아파트만 봤을 때 4월 전국 거래 건수와 거래금액은 3만7013건, 16조1613억원으로 전달에 비해 6.2%, 0.8% 각각 감소했다. 이는 작년 같은 달(3만3282건, 13조4993억원) 비해서는 11.2%, 19.7% 각각 늘어난 수치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월 대비 4.3% 증가한 서울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의 4월 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충북의 거래량이 1천498건으로 17.6% 감소하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이어 경북 1917건(15%), 충남 1972건(14.6%), 전북 1592건(13%), 광주 1231건 (11.5%)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거래금액 부분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중 12개 지역이 줄어들었다.
충북이 18.2% 하락한 3118억원으로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충남 3858억원(17%), 경북 3444억원(16.1%), 전북 3363억원(14.4%), 울산 3135억원(10.2%)이 그 뒤를 이었다.
전월 대비 거래금액이 오른 지역의 경우에는 서울 포함 5곳으로 제주가 7.7%로 가장 크게 상승했으며 다음으로 서울(7.6%), 대구(1.3%), 부산(1%), 경기(0.2%) 순으로 나타났다.
▲상가·사무실 거래량, 거래액 하락…오피스텔 거래량 12.1%, 거래금액 9.9%↓
올해 1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 곡선을 그린 상가·사무실 거래량과 거래금액도 동반 하락했다.
4월 거래량은 3356건으로 3월(3461건)에 비해 3% 줄어들었다.
이는 작년 4월 거래량(3572건)과 비교해서도 6% 감소한 수치다.
거래금액은 더 큰 폭으로 줄어 1조1172억원을 기록하며 직전월(1조6798억원) 대비 33.5% 하락했다.
오피스텔의 경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곳에서 전월 대비 거래량이 감소했지만 8개 지역에서는 늘었다.
전북이 29건으로 61.8% 줄어들며 감소율 1위를 기록했다.
제주(45.7%, 50건), 대전(30.4%, 55건), 충남(29%, 71건), 충북(25.9%, 20건) 등의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서울 지역 오피스텔 거래는 739건으로 전월 대비 24.7% 줄었다.
반면 세종은 14건으로 전월 대비 55.6% 늘면서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거래액은 45.2% 올라 1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비교시에는 거래량과 거래액 각각 366.7%, 266.1% 급등해 세 자릿수 대 상승률을 보였다.
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4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과 거래금액은 최근 1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던 3월 대비 소폭 감소하며 숨 고르기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연내 금리 인하 기대와 글로벌 경제위기 완화 기대감 등은 하반기 시장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전망이나 지역별, 상품별로 차별화된 시장 흐름이 나타나고 있어 선별적인 투자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