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작년 1인당 가계순자산 1.6% 증가…부동산↓·주식↑

지난해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가구당 순자산이 1.6% 늘었다.

같은 이유로 우리나라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 증가율도 2% 남짓에 머물렀다.

한은과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4천427만원으로 추정됐다. 2022년 말(2억4천39만원)과 비교해 불과 1.6% 늘었다.

대출
[연합뉴스 제공]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2천632조원)을 추계 인구(약 5천171만명)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은 2경 3039조원으로 전년에 비해 472조원(2.1%) 늘었다.

비금융자산은 2경 1995조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442조원(2.1%) 증가했다.

금융자산(2경 2,899조원)에서 금융부채(2경 1,855조원)를 뺀 순금융자산은 1045조원으로 전년대비 30조원(3.0%) 늘었다.

제도부문별로는 비금융법인은 전년대비 90조원(-2.1%) 감소한 반면, 금융법인은 80조원(17.4%), 일반정부는 272조원(5.0%),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210조원(1.7%) 각각 증가했다.

순자산
[통계청 제공]

시장환율(2023년 중 1천306원/달러)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7천달러로, 미국(46만5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39만3천달러)·캐나다(28만2천달러)·프랑스(23만달러)·독일(22만4천달러)·영국(21만3천달러)보다 적지만 일본(18만3천달러)보다는 많았다.

구매력평가환율(2023년 중 933원/달러) 기준으로는 한국(26만2천달러)이 일본(22만9천달러)뿐 아니라 영국(23만7천달러)도 앞섰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미국(46만5천달러)·오스트레일리아(39만3천달러)·캐나다(29만8천달러)·프랑스(29만6천달러)·독일(29만3천달러)은 우리나라를 웃돌았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프랑스·독일·일본의 순자산과 환율은 2022년 말 기준으로, 직접 비교에 다소 무리가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2천632조원)은 전년보다 1.7%(210조원) 불었다.

집값 하락에 따라 2.3%(-147조원) 줄어든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0.4%(-38조원) 감소했지만, 주가 반등 등에 힘입어 금융자산은 4.7%(+233조원)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작년 말 현재 ▶ 주택 50.3% ▶ 주택 이외 부동산 25.2% ▶ 현금·예금 19.1% ▶ 보험·연금 11.5% 순이었다.

통계청
[통계청 제공]

부동산 경기 부진과 함께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의 비중이 2022년 77.1%에서 지난해 75.5%로 떨어졌다.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년 전보다 1.2%(207조원) 많은 1경6천841조원으로 집계됐다.

주택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주택시가총액(6천839조원)은 1.7%(-118조원) 뒷걸음쳤다. 이에 따라 GDP 대비 배율도 1년 사이 3.0배에서 2.8배로 낮아졌다.

한은이 이날 공개한 국민 대차대조표는 기준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바꾼 결과다.

개편에 따라 2020년 말 국민순자산(1경8천882조원)이 기존 시계열보다 5.3%(942조원) 늘었고, 2008∼2022년 국민순자산도 연평균 4.2% 증가했다. 주거용 건물과 부속 토지를 각각 산출하던 방식을 바꿔 이번 개편부터 주택자산의 가치를 일괄 평가하면서 주거용건물 부속 토지 금액이 상향 조정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