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 아파트값 6주 연속 상승…구축보다 신축에 수요 쏠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오름폭을 한주 한주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재건축을 추진 중인 아파트 가격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공사비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분담금도 늘면서 재건축 아파트보다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R114가 19일 내놓은 '수도권 아파트 주간 시황' 자료에 따르면 7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5%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R114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주 연속 상승하며 완연한 회복세에 진입하는 분위기다.

다른 시세조사 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은 16주 연속, KB국민은행은 9주 연속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상승했다고 밝혔으며 국내 시세 조사 기고나 3사 모두 상승폭이 확대 중이다.

부동산
[연합뉴스 제공]

6월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7천 건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돼 7월말까지 신고기준으로 과열기였던 2020년의 거래량에 진입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고공행진하는 신축 분양가와 전월세 가격이 실수요층의 불안심리를 꾸준히 자극하고 있어 서울이 리드하고 있는 추세적 상승세는 수도권 일대로 확산될 전망이다.

재건축을 추진 중인 아파트와 그 외 일반 아파트로 나눠 살펴보면 일반 아파트 가격은 0.05%의 상승률을 나타냈지만,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보합(0.00%) 수준에서 움직이는 데 그쳤다.

특히 강남구(재건축 0.00%, 일반 0.18%)와 강동구(재건축 0.00%, 일반 0.17%)는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간 변동률 격차가 매우 컸다.

재건축 아파트는 일반 아파트보다 3주 늦은 7월 첫째 주(0.04%) 상승 전환했고, 둘째 주 상승률은 0.01%로 일반 아파트(0.05%)에 비해 낮았다.

과거 재건축 아파트가 일반 아파트 상승률을 웃돌면서 서울 전체 상승을 이끌었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수도권
[부동산R114 제공]

한국부동산원 시세 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난다.

7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평균 0.28% 오른 가운데 준공 5년 이하 신축 아파트가 0.55%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10년 초과∼15년 이하 아파트와 5년 초과∼10년 이하 아파트가 각각 0.44%와 0.33%의 상승률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20년 초과 아파트의 오름폭은 0.25%로 상대적으로 작았다.

부동산R114는 "공사비 갈등과 조합원 분담금 이슈 등으로 수요층이 불확실성이 커진 재건축보다는 신축 혹은 준신축으로 방향 전환한 분위기"라고 전했다.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공사비 갈등으로 재건축 사업이 지연되고 분담금도 수억 원에 달하는 경우가 많아 재건축보다는 신축을 선호하는 것 같다"면서 "최근 시장을 움직이는 동력이 투자 수요가 아니라 실수요이기 때문에 더더욱 거주 편의성을 고려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부동산R114
[부동산R114 제공]

전세 시장은 1년 연속 올랐음에도 상승폭을 조금씩 키우고 있다.

서울이 0.04% 올랐고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0.01% 상승했다.

서울 개별지역은 강남 0.18%, 구로 0.15%, 강서 0.10%, 관악 0.08%, 동작 0.06%, 도봉 0.05% 등의 상승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광교 0.05%, 동찬 0.03%, 파주운정 0.01% 등에서 올랐다.

경기·인천은 구리 0.04%, 화성 0.03%, 수원 0.03%, 의왕 0.02%, 안양 0.02% 등에서 각각 올랐다.

부동산R114는 "정부가 수도권 공공택지 24만호와 신규택지 2만호에 대한 공급 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 더해 추가 고윽ㅂ확대 방안을 8월 중에 다시금 발표한다고 밝혔다"라며 "이번 발표된 정비 사업의 사업성 제고와 갈등 중재, PF 지원 등을 통한 지원 계획을 시의적절한 대책으로 평가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멸실을 유발하는 정비사업은 공급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3기 신도시와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공급확대 계획은 서울 수요 분산에 효과적이다. 다만 수요자가 인식하는 주택 공급량이 가시적으로 늘어나려면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소통 과정을 통해 수요층의 불안 심리가 커지지 않도록 조기 차단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