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아…식료품·주거비 부담 가중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10년간(2014∼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소득 5분위의 20.6%보다 2.6%p 높았다고 2일 밝혔다.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을 살펴보면, ‣ 1분위 23.2%, ‣ 2분위 22.4%, ‣ 3분위 21.7%, ‣ 4분위 20.9%, ‣ 5분위 20.6%로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경협
[한경협 제공]

연도별로 분석할 경우, 최근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 중 2022년을 제외하고 1분위의 체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분위보다 매년 높았다.

한경협은 코로나 직전부터 저소득층인 1분위의 체감물가가 5분위보다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어왔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헌경협은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저소득층이 주로 소비하는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같은 기간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약 2배에 달했다.

한경협은 식료품 물가 상승이 저소득층의 체감물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한경협
[한경협 제공]

저소득층의 부담을 높인 주요 요인은 식료품비와 난방비 등 주거 관련 비용 상승이었다.

지난해 기준 소득 1분위의 지출 비중이 높은 분야는 식료품·비주류(술 제외) 음료(20.9%)를 비롯해 주거비인 주택·수도·광열(20%) 등이었다.

지난 10년간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21.2%)의 2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주택·수도·광열 비용은 17.5% 올랐다.

외식
[연합뉴스 제공]

반대로 소득 5분위에서 지출 비중이 높은 교통(13.0%), 교육(10.5%), 오락·문화(9.0%)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비교기간 동안 해당 품목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5.3%, 10.6%, 9.2%로 전체 물가상승률(21.2%)을 크게 밑돌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며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