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가톨릭계를 대표하는 김수환(스테파노) 추기경이 16일 오후 6시 12분께 서울 강남성모병원에서 향년 87세로 선종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관계자는 "건강악화로 강남성모병원에서 입원해 있던 김수환 추기경이 선종했다"고 공식 발표 하면서 "조만간 장례위원회를 구성하고 명동성당에 빈소와 프레스센터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 김수환 추기경의 주치의였던 강남성모병원 정인식 교수는 "추기경께서는 평소 늘 하시던 말씀대로 임종을 지켜본 교구청 관계자들과 의료진에게 '고맙다'는 말씀을 남기고 가셨다"고 전했다.
1922년 대구에서 출생한 고인은 1951년 사제품을 받았고 1968년 대주교로 승품한 뒤 서울대교구장에 올랐다. 이듬해 고인은 교황 바오르 6세에 의해 세계 최연소 추기경에 서임됐고, 아시아 천주교 주교회의 구성 준비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98년 정년(75세)을 넘기면서 서울대교구장에서 은퇴했다.
고인은 서울대교구장 취임식에서 "교회의 높은 담을 헐고 사회 속에 교회를 심어야 한다"며 '봉사하는 교회', '역사적 현실에 동참하는 교회'가 돼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또 핍박받고 가난한 이웃에게 애정을 쏟았고 독재와 불평등에는 용감하게 맞서 싸웠다.
고인은 1971년 성탄 자정 미사에서 장기집권 하려는 박정희 정권을 비판하는 강론을 한 것을 시작으로 유신독재와 싸웠다. 이후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때는 마지막까지 명동성당을 지켜내며 민주화 운동을 몸소 실천했다.
한편, 고 김수환 추기경은 서강대, 고려대, 연세대, 미국 노트르담대, 일본 상지대, 미국 시튼힐대, 타이완 후젠가톨릭대, 필리핀 아테네오대 등에서 명예 문학·법학·철학·인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 국민훈장 무궁화상(1970), 제13회 성균관대 심산상(2000), 제2회 인제대 인제인성대상(2000), 독일 대십자공로훈장(2001), 칠레 베르나르도오히긴스 대십자훈장(2002) 등을 수훈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