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美 은행들 "구제금융, 배보다 배꼽이 크다"

미국 은행들 사이에 정부로부터 받는 구제금융 조건이 까다로워 서둘러 반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NYT)인터넷판은 골드먼삭스·웰스파고 등 대형 금융회사 뿐 아니라 미네소타의 TCF파이낸셜 코포레이션이나 루이지애나의 아베리아뱅크 등 소규모 은행들도 구제금융 조건이 너무 성가시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지금까지 미 정부가 내건 구제금융의 조건으로는 직원감원 연기, 경영진 봉급 삭감, 직원 교육 프로그램 취소, 외국인 채용 제한 등이다.

이는 막대한 양의 세금을 부실금융권에 쏟아붓는 것에 대한 여론의 비난을 잠재우기 위한 조치다.

10일에는 뉴욕의 시그너처 뱅크가 경기부양책의 경영진 봉급 제한 규정을 이유로 3개월 전 지원받은 구제금융 1억2천만달러를 반납하겠다고 재무부에 통보했다. 위스콘신의 존슨 뱅크 오브 래신 경영진도 구제금융을 지원받으면 동물원이나 오페라단 지원 등 지역사회 활동을 제한받게 될 것 같아 구제금융을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문가들은 부실은행에 정부의 사회경제 정책을 요구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볼 수 있겠지만 은행들이 손해를 초래하는 대출 관행에 젖게 만들어 결국 더 많은 정부 재정이 소요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