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삼성경제연구소, 2009년 경제전망에 관한 가계의식은?

가계가 전망하는 2009년 한국경제의 성장률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09년 경기전망에 대한 가계의식과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를 놓고 여론조사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가계가 전망하는 2009년 한국경제의 성장률은 평균 -2.6%로 주요 기관의 전망치와 유사했다. 전체 조사대상 가구 중 41.1%가 2009년 한국경제의 성장률을 -2%대로 전망했다. 반면 0%대 및 1% 이상의 성장률을 전망한 가구는 각각 6.1%와 3.6%에 불과했고 -3%대 또한 28.3%을 기록했다.

이어 가계가 전망하는 경기회복 속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 가구 중 29.4%가 경제의 본격적인 회복시점이 2010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2011년과 2012년까지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한 가구의비중은 각각 20.4%와 20.8%로 나타났다.

2009년 상,하반기 중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 가구의 비중은 각각 0.3%와 10.2%로 나타났다. 최근 향후의 생활형편 및 경기판단에 대한 기대심리가 호전되면서 소비심리도 개선되어 가계는 향후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그 회복 속도는 매우 완만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구재소비 회복시기에 대해서도 전체 조사대상 가구 중 32.5%가 회복시기가 2010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23.7%는 2011년에, 20.6%는 내년 상반기 중, 17.7%는 2012년을 내구재 회복시기로 전망하였으며 2009년 중 내구재소비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 가구는 5.1%에 불과했다.

주식시장을 두고는 전체 조사대상 가구의 절반에 가까운 48.4%가 향후 주식시장이 서서히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등락을 반복하면서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한 가구는 27.1%, 주가가 재차 하락하면서 불황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한 가구는 22.3% 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경기부양책이 경기를 진작시키는 효과가 다소 있다는 의견이 56.5%로 대다수 의견을 차지했으며,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는 견해는 3.2%로 조사됐다.    

정부가 추진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전체 조사대상 가구의 45.4%가 고용불안해소 및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물가안정을 가장 여전히 시급한 과제로 지목한 가구도 25.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투자활성화, 금융안정, 민간소비회복 그리고 수출회복을 지목한 가구는 각각 9.7%, 9.2%, 6.5%와 4.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