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시판 생수, 8.9%서 발암물질 검출돼

시판 중인 먹는 샘물(생수) 일부 제품에서 잠재적 발암물질로 알려진 '브롬산염'이 국제 기준 이상으로 검출됐다.

환경부는 18일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에 의뢰해 시중에서 판매중인 먹는 샘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국 79개 생수 제품 중 8.9%인 7개에서 국제기준(0.01㎎/ℓ)을 초과한 0.0116∼0.0225㎎/ℓ의 브롬산염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브롬산염은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동물에 대한 발암성은 확인되나 인체 발암 근거는 부족해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돼 있으며 미국, 캐나다, 유럽에서 먹는 물 기준으로 0.01㎎/ℓ로 규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브롬산염의 먹는 샘물 수질기준이 따로없지만, 국토해양부에서 관리하는 먹는 해양심층수에만 0.01㎎/ℓ 수질기준이 규정됐다.

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일부 제품에서 검출된 브롬산염은 지하 암반수에서 체취하는 원수의 문제가 아니라 미생물을 제거하는 제품 제조과정에서 도입된 오존 살균 공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미생물 발생을 원천 차단하려고 과다한 오존을 패트병 세척에 노출시켜 그 부산물로 브롬산염이 생성됐다는 설명이다.

환경부는 해당 제품 제조사에 이번 검출 결과를 통보했고 브롬산염을 생성시키는 오존살균 공정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유통중인 제품은 자발적으로 회수할 것을 권고했다.

환경부는 브롬산염의 먹는 샘물 기준을 국제기준 수준으로 정하기로 하고 지난 16일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고, 이르면 8월말이나 9월초 개정안이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명예훼손 등을 이유로 제조사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