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명박 대통령, 임기 내 대운하 추진 안 할 것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4대강 살리기'를 둘러싸고 일어난 '대운하 건설' 의혹에 대해 "추진하지 않겠다"고 직접 의견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29일 KBS1라디오와 교통방송(TBS.TBN), 동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를 통해 방송된 제18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통해 "대운하의 핵심은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것"이라며 "우리 정부에서는 그걸 연결할 계획도 갖고 있지 않고 제 임기 내에는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대운하가 필요하다는 제 믿음에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이 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되어 국론을 분열시킬 위험이 있었기에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한, 대운하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렇다고 21세기 가장 중요한 자원인 강을 이대로 둘 수는 결코 없다"며 한강과 태화강, 청계천 등을 예로 들며 친환경적인 목적으로 '4대강 살리기'를 추진할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물도 풍부하게 확보하고 수질도 개선하고 생태 환경과 문화도 살리면서, 국토의 젖줄인 강의 부가가치도 높이면, 투입되는 예산의 몇십 배 이상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서 더는오해가 없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같은 이 대통령의 언급은 여론을 반영해 '대운하 건설'은 포기하되 '4대강 살리기'는 대운하와 내용이 다른 만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이 대통령은 국민화합과 소통에 관련해 '우리나라 사회갈등 비용이 GDP의 27%에 해당된다'는 삼성경제연구소의 최근 조사결과를 언급하며 "정치적, 사회적 갈등과 분열상을 극복하지 않고서 선진화되기 어렵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제가 얘기하는 중도 실용은 거창한 이념이 아니다"라며 "갈등하며 분열하지 말고, 국가에 도움이 되고 특히 서민과 중산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마음을 모으자는 것"이라고 화합을 강조했다.

또 하반기 경제에 대해서는 "실제 회복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고 서민생활이 나아지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며 "경제를 제 궤도에 올리고 서민생활을 더더욱 열심히 챙길 각오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벌점으로 면허가 취소된 생계형 직업 운전자 문제, 보육비나 사교육비 문제, 취업난 등에 대한 의견을 일일이 열거하고 권력형 부정·불법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강조하며 "국민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더욱 열심히 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