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가계소비 변동성 확대 ‘부동산 잡아야 안정돼’

가계부채가 증가하며 경기상황에 따라 가계소비의 변동폭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 주택담보대출이 늘어 가계부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30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외환위기 전후 가계소비의 경기대칭성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외환 위기 이후 가계소비 변동성이 크게 확대돼 경기변동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소비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의 표준편차가 외환위기 이전(1980년 1·4분기~1997년 3·4분기) 2.5%포인트에서 외환위기 이후(1997년 4·4분기~2008년 4·4분기) 6.7%포인트로 2배 이상 확대됐다.

특히 외환위기 이전에는 경기수축기에도 가계소비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6.2% 증가하면서 경기 확장기의 7.5%와 비슷한 증가율을 유지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경기확장기에 8.1% 증가한 반면 수축기에는 1.6% 감소하는 등 확장기와 수축기의 가계소비 증가율 격차가 1.4%포인트에서 9.7%포인트로 7배 이상 커져 경기변동성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은은 "외환위기 이후 가계소비가 경기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가계부채의 증가와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 등 납부액 증가로 가처분소득의 증가세가 둔화된 데에 따른 것"이라며 "또 주가와 주택가격 등 자산가격의 변동폭이 확대되고 가계저축률이 하락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은은 "경기 안정성을 높이려면 가계부채 증가를 주도하는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일자리 창출과 사회안전망 확충에도 주력해야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