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다음-MS 맞손…정상 탈환 '맹추격'

국내 검색시장의 ‘3파전’ 경쟁 양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SK커뮤니케이션즈의 네이트가 시맨틱검색 서비스를 선보이며 검색시장점유율을 크게 늘려가고 있는 가운데 17일 다음커뮤니케이션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검색 제휴를 맺고 ‘빙(Bing)’ 한국판 서비스에 다음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MS가 최근 선보인 검색엔진 빙에서 포털 다음의 검색 결과를 찾아볼 수 있으며 다음에서도 빙의 검색 결과를 찾아볼 수 잇게 됐다.

또한 다음은 순차적으로 빙의 글로벌 웹 검색결과를 다음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게 되어 해외 웹문서 검색 등에서 향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빙에 적용되는 검색결과는 바로가기, 카페, 블로그, 동영상, 게시판, 쇼핑, 책, 뮤직, 이미지 등이며, 스폰서 링크와 뉴스, 웹 검색 결과는 제외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다음의 웹검색에 빙의 글로벌 외국어 검색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음 이용자들은 외국어 질의에 대해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 웹 공간에 축적된 방대한 자료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전문DB를 기반으로 질의어를 분석한 후 해당 답변을 추출, 최상단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는 지능적인 검색서비스 스마트앤서 등 이용자의 검색생활 업그레이드에 주력해 왔다. 이번 제휴로 다음은 네이버에 비해 절대 약세로 평가받고 있는 검색엔진 분야에서 약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측은 이번 제휴에 대해 “다음 검색을 더 많은 사용자가 경험토록 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회사측은 “‘1위 사업자를 능가하는 검색품질과 정확도를 확보했으며, 로컬 검색과 같은 생활밀착형 영역은 월등히 스마트한 검색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기술은 확보된 만큼 서비스 체험 확대가 시장점유를 확대해 나가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해 제휴를 맺게 됐다”고 강조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컨수머 온라인 사업본부 정근욱 상무는 “국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검색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주요 포털인 다음과 제휴하게 됐다”면서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향후에도 다각도로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털 시장을 판단하는 검색점유율에서 네이버와 다음이 주춤하고 있는 사이 네이트가 두달사이 점유율을 2배 끌어올리며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다음과 MS의 제휴로 인한 판도 변화에 시장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특히 검색점유율은 포털업계가 주요 수익원으로 삼는 검색광고를 유치하는 기준으로 각 포털회사가 가장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분야다.

네이트의 12월 두번째 주(12월7일~13일) 통합검색 점유율은 10.23%를 기록, 사상 처음으로 10%의 벽을 넘었다. 이는 네이트가 최근 도입한 '시맨틱 검색'의 효과 때문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 대부분의 견해다. 시맨틱 검색이란 한 단어를 입력하면 그와 비슷한 의미를 갖는 여러 검색결과를 도출해 주는 검색 기법이다. 예를 들어 '나이'를 검색하면 해당 단어 뿐만 아니라 '연세' '춘추' 등 비슷한 의미의 단어를 모두 찾아주는 것이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여러 단어를 반복해 찾지 않고 한번 검색으로 모든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고 바로 이것이 네이트의 검색 점유율을 끌어올렸다는 것이다.

반면 국내 최대포털인 네이버의 통합검색 점유율은 10월까지만 해도 65%를 넘었지만 최근 63.13%까지 떨어졌고, 다음 역시 23%에서 20%로 3% 포인트 가까이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