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2년까지 해외 건설수주 700억 달러를 달성, 세계 10대 해외건설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고 목표를 정했다. 이를 위해 해외도시개발 등 투자개발형 사업을 확대하고, 기업들의 해외 진출 지원도 대폭 강화한다.
정부는 15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해외건설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국토해양부는 이날 회의에서 올해 해외건설 수주 600억 달러로 상향조정하고, 2010년에는 '꿈의 700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우리 해외건설 수준을 세계 10대 강국으로 발돋움 시키고, 동시에 시장점유율을 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당장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해외도시개발 등 투자개발형 사업을 확대하고, 리비아 메트로사업(5조원·3월)과 브라질 고속철도 수주(24조원·6월) 등 해외철도건설 사업에 적극 진출할 예정이다.
또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정부 주도로 중동, 아프리카 국가와 선제적, 포괄적 패키지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상대측의 수요가 확인될 경우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수주와 연계한 합의안 도출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아랍에미리트(UAE) 원전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관계부처 및 기관이 참여하는 '지원협의회'를 구성해 정부의 수주지원 역량도 집중키로 했다.
이와 함께 대규모 투자개발형 사업 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 등 금융지원도 한층 강화될 예정이다. 2012년까지 정부 400억 원, 공공기관 1천600억 원, 민간 1조8천억 원 등 총 2조원 규모의 글로벌인프라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해외건설 금융지원도 올해 9조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국토부는 현재 해외건설 중점시장인 중동·아시아뿐 아니라 개발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중남미 등으로 시장을 다각화하고, 잠재력이 높은 거점지역에 국토해양관을 재배치해 해외 수주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녹색성장 및 에너지·자원분야 협력 강화, 해외건설·플랜트 수주 확대 등 대외부문에서 우리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적극 발굴해 나가겠다"며 "전략적 대외개방을 통해 우리 경제·산업구조를 한 단계 끌어올리고 해외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약진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