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내기업 이자갚기 ‘빠듯’

국내 기업들이 이자를 내는데 쓰는 돈이 6년 만에 최고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1000원어치를 팔면 그중 16원을 이자로 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09년 상장기업 경영분석'에 따르면 주권상장법인(1386개) 및 비상장 주요기업(98개) 총 1484개 업체의 지난해 금융비용부담률이 1.6%를 기록했다.

금융비용부담률은 이자비용을 매출액으로 나눠 이자비용 부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총 1000원의 매출을 올리면 그 중 16원이 이자비용으로 나간다는 의미다. 이는 2003년 2.0% 이후 최고수준이다

김경학 한은 기업통계 팀장은 "금리가 낮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회사채와 차입금 규모가 늘면서 이자비용이 증가했다"라며 "금융위기 여파로 매출액은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둔화돼 기업들의 금융비용이 늘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매출액증가율은 지난해 전년대비 -0.1%를 기록, 2003년 -0.4%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보였다.

또한 기업이 이자비용 대비 얼마나 영업이익을 냈는지를 알려주는 이자보상비율도 377.7%로 전년보다 76.3% 하락, 2003년 이후 6년만에 가장 낮았다. 영업으로 낸 이익으로 이자갚기가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한편, 기업들의 현금흐름은 지난해 영업활동 부문에서 552억원으로 전년 417억원에 비해 개선됐지만, 재무활동을 통한 현금조달이 줄어들며 현금 증가폭은 57억원으로 전년 90억원보다 축소됐다. 즉 기업이 보유한 현금이 줄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대부분의 업종에서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개선돼 현금흐름보상비율은 66.9%로 전년보다 상승했다. 즉 영업활동으로 얻은 현금 수입으로 단기차입금과 이자비용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