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대표적인 친환경 산업인 ‘수 처리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물 관련 산업은 황금의 가치와 비교할 수 있다는 의미로 ‘블루 골드(Blue Gold)’로 불린다.
LG는 친환경 녹색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수 처리 사업을 미래 성장사업으로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글로벌 수 처리 시장에서 7조원의 매출을 올려 ‘글로벌 TOP 10 종합 수 처리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 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향후 10년간 5,000억원 이상 투자할 계획이며, 사업 조기 안정화를 위해 초기에 집중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한편, 성공적인 사업 전개를 위해 차별화 된 수 처리 시스템 개발에 R&D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수 처리 솔루션의 핵심부품인 멤브레인(Membrane:액체 또는 기체 등의 혼합물질에서 원하는 입자만을 선택적으로 투과해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차세대 핵심 소재) 개발 역량도 갖춘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외부 전문 인력 영입도 추진 중이며, 올해 말까지 70여 명 규모의 조직을 갖추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다.
국내 및 해외 관련 기업의 M&A, 전략적 제휴 등 다양한 방식의 협력도 적극 추진한다. 우선 산업용 수 처리 시장에 진출하여 사업역량을 축적하고, 향후 국내 및 해외 공공부문의 생활 하수 및 상수처리 시장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또, 사업 수주 및 운영관리 영역까지 사업 모델을 다각화 할 방침이다.
LG전자 HA사업본부장 이영하 사장은 “물 관련 사업은 매년 15% 이상 성장하는 블루오션 시장”이라며 “신수종 사업인 만큼 LG의 기술력을 결집해 빠른 시간 내에 글로벌 역량을 갖추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이어 그는 “지금까지 LG전자는 친환경 녹색산업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사업을 전개해 왔다”며, “앞으로도 사회에 기여하는 기업의 소명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UN은 오는 2025년 전 세계 약 20%의 국가와 27억명의 인구가 물 부족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 역시 안정적 수급 기반 확보와 국내 물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5년까지 국내 물 산업시장을 약 20조원 규모로 육성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