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해상풍력단지 건설에 9조 투자

정부가 2019년까지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민관 합동으로 대규모 투자에 나설 방침이다.

지식경제부는 2일 전남 영광원자력발전소에서 해상풍력추진협회의회를 개최하고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지경부는 2019년까지 총 9조2590억원을 투입해 서남해안에 2500㎿ 규모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단계적으로 개발키로 했다.

정부는 해상구조물 등의 기술개발에 290억원을 투자하고, 나머지 발전기 개발·설치, 지지구조물 설치·계통연계 등 대부분의 예산은 민간에서 투자한다.

이와 관련 지경부는 2008년 10월부터 2년 동안 우리나라 전체 해상을 대상으로 풍황, 수심, 계통연계조건, 해안과의 이격거리, 변전소 이격거리, 확장성 등의 조사를 토대로 서남해안권중 부안·영광지역 해상을 최적지로 선정했다.

정부는 우선 2013년까지 부안·영광지역 해상에 100㎿(5㎿급 20기) 국산 해상풍력발전기 실증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어 2016년까지 900㎿(5㎿급 180기) 시범단지로 확대하고 2019년까지 1500㎿(5㎿급 300기)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추가로 건설할 예정이다.

지경부는 또 서남해안권 뿐만 아니라 제주도, 남해안 등 다른 지역의 소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에 대한 지원방안도 별도로 검토할 계획이다.

특히 육상풍력에 비해 해상풍력이 투자비가 많은 점을 고려해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시행시 해상풍력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조기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해상풍력 확산을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해상풍력단지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지만 협소한 국토여건을 감안시 육상풍력보다 환경파괴나 민원발생이 적고 대규모 단지 개발이 가능한 해상풍력이 유망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