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과의 특허 분쟁과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 등으로 인해 IT분야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계속해서 소프트웨어 기술ㆍ인재 확보와 경쟁력 제고를 주문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이 전체 연구ㆍ개발(R&D) 인력 가운데 소프트웨어 부문의 비중을 50%에서 70%로 늘린다는 계획을 가지고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
12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수요 사장단 회의에서 김진형 카이스트 전산학과 교수를 초청해 강연을 듣고 담화를 나누는 가운데 삼성측은 삼성전자의 경우 소프트인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털어놨다.
소프트웨어 인력이 2만5천명으로 개발 인력의 50%를 차지하는데 추세로 볼 때 7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부족한 인력을 충원하는 데 고충이 많다는 것이다.
국내 대학에서 이들 인력을 공급하지 못하는데다 학생들이 '대기업에 가면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한다'는 인식 때문에 대기업 입사를 꺼리고 벤처기업이나 게임업체 등을 선호하기 때문에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돼 인도 등에서 인력을 데려오고 있다고 토로했다.
삼성은 소프트웨어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하반기 공채부터 신입사원 채용 때 소프트웨어 직군을 별도로 뽑고 있으며, 여러 대학과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상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소프트웨어 인력들이 역량 개발에 매진할 수 있게 선발 방식을 개선하는 등 소프트웨어 분야 저변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교수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우리나라 경쟁력이 미흡하다고 지적하고 그 원인으로 '활용과 투자가 저조하다'는 점을 꼽았다.
정보기술(IT) 인프라는 강국이지만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소프트웨어가 지식산업임에도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소유 및 거래와 관련한 권리에 무지해 소프트웨어 사용권만 사놓고도 제삼자에게 배포ㆍ대여하는 일조차 일상화돼 있다는 것이다.
그는 "사회가 바뀌지 않는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이 잘 될 수 없으며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모바일 부품 1위 생산국이고 인터넷 모바일과 온라인 게임 강국인 우리나라가 모바일 앱 분야에서는 글로벌 스타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