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우리나라가 오는 2013년 사이버공간의 안전과 표현의 자유를 논의할 '사이버공간 회의'를 개최한다.
외교통상부는 우리나라가 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사이버 공간에 관한 런던회의(London Conference on Cyberspace)'에서 차차기 후보국으로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 회의는 세계 장관급 고위 인사들이 범세계적인 이슈로 대두한 사이버 규범 문제를 경제, 사회, 범죄, 안보 등 사이버 공간상의 여러 측면에 걸쳐 논의하는 종합포럼으로,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최초로 개최됐고, 2012년에는 헝가리에서 열린다.
지난 9월 제66차 유엔총회를 계기로 개최된 한·영 외교장관 회담에서 윌리엄 헤이그 외교장관은 '후속회의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할 것'을 제안했고, 지난 10월 데이비드 캐머론 총리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서한을 통해 후속회의 검토를 요청했다.
또 이번 런던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정보통신기술 강국이라는 점과 다양한 고위급 국제회의 의장직을 수임했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하며 우리나라의 후속회의 개최를 적극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나라가 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서의 높은 위상과 역량을 평가받아 차차기 후보국으로 선정됐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이번 회의 개최국인 영국 및 내년 회의 개최국인 헝가리와 긴밀하게 협조하면서 국내 산업계, 학계, 비정부기구(NGO) 등 민간의 참여 유도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한편, '사이버공간에서 허용 가능한 행동에 관한 규범'을 주제로 열린 런던 회의에는 60여 개국 장관급 또는 고위급 정부관리, 하마둔 투레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사무총장 등 국제기구 대표, 지미 웨일스 위키피디아 공동창업자 등 민간 저명인사들이 참석했다. 당초 참석키로 했던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모친의 병환으로 인해 불참했다.
회의에서는 사이버공간의 안전과 표현의 자유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경제적 이익을 높이고 사이버 범죄와 안보 위협 등에 대처하는 방안이 중점 논의됐다.
회의를 주재한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교장관은 "안전하고 확실한 사이버 공간의 혜택을 다음 세대들이 모두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가 당면한 큰 과제의 하나"라면서 "이를 위해 사이버공간에 이해관계를 가진 모든 사람을 포함한 집단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수석대표로 참석한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연설에서 ▲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서 한국의 네트워크 활용도와 과제 ▲사이버공격 위협에 대한 공동대응 필요성 ▲인터넷상 표현의 자유와 규제 간 조화 ▲사이버범죄 방지를 위한 국제협력 ▲글로벌 디지털격차 해소 ▲사이버공간의 국제규범 형성 필요성 등에 대해 설명했다.
회의에는 사이버 범죄의 온상으로 지목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 대표도 참석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2013년 사이버공간에 관한 회의 개최로 세계국가로서 위상을 제고하고 향후 국제 사이버규범 논의에 있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