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기자수첩] 낙하산 인사 부메랑 맞은 신보·금융위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신용보증기금에 금융위원회 출신 낙하산을 내려 보내려다가 역풍을 맞아 송별회까지 마친 現 이사장을 연임하는 웃지못할 일이 벌어졌다.

당초 신보 임원추천위원회는 홍영만 금융위원 등 3명을 최종 후보로 보고했다고 한다. 금융권에서는 홍 위원이 이사장에 내정됐다는 소문이 파다했는데, 금융위 출신 인사의 무리한 낙하산 시도에 '윗선'에서 제동을 걸면서 결국 안택수 이사장이 연임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신용보증기금은 중소기업의 든든한 우산이자 혈맥과 같은 기관이다. 경쟁력을 갖추고도 금융지원을 받지 못하는 중소기업들에 보증을 서줌으로써 자금이 원활하게 중개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정책금융기관이다. 이러한 공공기관에 애초부터 금융위 출신 인사를 낙하산 이사장으로 세우려고 했던 것 자체가 한심한 일이다. 이러다 보니 금융위를 폐지해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안택수 이사장의 재연임 역시 안될 말이다. 이사장 후보자를 공모하는 순간부터 그의 연임은 불가능한 일이 됐다. 임추위를 구성했다는 것은 지금의 이사장이 아니라 새로운 인사를 이사장으로 뽑겠다는 의미다.

신보 내부에서도 그를 다시 연임시키려 했던 것이 아니지 않느냐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간 안 이사장은 사기업에나 적용돼야 할 과도한 줄세우기식 성과평가로 기금의 공공성을 훼손하고, 권위주의적이고 제왕적인 불통의 경영 스타일로 직원들의 비판을 한몸에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보의 새 이사장 선임 절차가 권력의 냄새로 얼룩져서는 안된다. 규정에 따라 새 이사장 선임 절차를 후보자 공모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