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오는 7일 출시되는 애플의 신작 스마트폰 '아이폰5'에 대한 보조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SK텔레콤과 KT의 자존심 싸움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LTE(롱텀에볼루션) 가입자 유치 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고 아이폰5의 출시가 예정보다 크게 늦어져 소비자들의 관심이 다소나마 떨어진 것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예약판매 중인 애플의 아이폰5가 일부 인터넷 유통망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최저 45만∼55만원대에 팔리고 있다.
아이폰5 16GB모델의 공식 출고가는 81만4000원이고 SK텔레콤과 KT이 제시한 공식 할인액이 최대 13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약 20만원가량의 추가 보조금이 붙은 것으로 파악된다.
SK텔레콤과 KT 관계자는 "정식 공지 가격으로만 판매한다"며 아이폰5 특가 판매가 본사의 방침이 아닌 일선 유통망의 자체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아이폰 시리즈는 '고급 스마트폰' 이미지가 강하고 가입자의 충성도도 높기 때문에 예약판매에 들어간 지 사흘밖에 지나지 않은 아이폰5의 가격이 급격히 하락한 것이 이례적이라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SK텔레콤과 KT가 아이폰5를 둘러싼 자존심 대결을 벌이고 있고, 아이폰5가 올해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수를 끌어올릴 마지막 계기이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보조금 경쟁이 붙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보조금을 많이 주는 정책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도 많지만, 판매 장소와 시점에 따라 판매가격이 다르면 다수의 소비자가 혼란을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이통사 보조금 경쟁에 대한 시장조사를 벌이는 상황에서 아이폰5발 보조금 경쟁이 재점화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