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2017년까지 중소수출기업 10만개, 글로벌기업 400개 육성한다

정부가 2017년까지 중소 수출기업을 10만개로 늘리고 연간 수출 1억달러 이상의 글로벌 전문기업 400개를 키우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수출·투자 확대, 창조·혁신형 신성장동력 육성, 기업의 해외진출 촉진 등을 골자로 한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정부는 현재 8만7천개인 중소 수출기업을 집중 육성해 3년 뒤에 10만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판로 개척과 무역금융 지원 등을 강화하고 유망 내수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돕는 전문무역상사를 지정·운영한다.

특히 중소·중견 수출기업이 대외 불안요인에 맞설 수 있도록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 등을 통해 올해 무역금융(대출·보증·보험) 77조4천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작년보다 3조6천억원 늘어난 규모다.

정부는 또한, 중소·중견기업이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이 해양플랜트, 헬스케어, 항공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유한 1천여개 특허와 상표, 유통망을 싼 비용으로 활용해 상품 개발,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산업부와 GE가 양해각서(MOU)를 맺을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산업현장에서 여성 전문인력의 경력 단절을 막기 위해 여성 연구·개발(R&D) 인력이 재취업할 때 인건비를 지원한다.

출산, 육아 등을 위해 퇴직한 여성 R&D 인력이 중소·중견기업에 재취업할 때 정부가 1인당 월 80만∼100만원의 인건비를 3∼6개월간 대주는 '경력복귀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기업이 시간선택제 근무로 전환한 여성 R&D 직원의 인건비로 정부의 R&D 예산을 쓰는 것을 허용한다.

그 밖에 정부는 민간기업의 해외자원 개발, 해양플랜트 등 대형 사업 수주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책 금융기관에서 대출·보험으로 61조원을 지원하고 자원개발펀드에도 2조5천억원 규모의 보증을 선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짓는 원자력발전소 4기의 운영·정비 분야에 2020년까지 국내 청년인력 1천500여명을 진출시켜 취업난을 더는 방안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