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은행 등 시중은행의 대출 모집인과 위탁 법인 확대는 최근 카드사의 1억여건 고객 정보 유출을 계기로 금융당국이 대출 모집인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대출 모집인을 금융회사가 직접 관리하도록 유도하겠다는 방침과 배치된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까지는 대출 모집 법인이 2곳으로 520여명의 모집인을 두고 있었는데 지난 1월 고객 정보 유출 사태가 터진 이후 대출모집 법인을 오히려 더 늘린 것이다.
현재 국민은행은 케이스타모기지·베스트엘씨 등 대출 모집 법인 4곳을 두고 있다.
다른 시중은행의 경우, 우리은행은 우리모기지·글로벌모기지·에이플러스 모기지 등 3곳, 신한은행은 모기지파트너스 1곳을 두고 있고 하나은행은 하나GMG·하나MMC 등 2곳, 기업은행은 에이스모기지·모기지뱅크·한국모기지 등 3곳, 농협은행은 유모기지뱅크·에프씨모기지 등 2곳, 외환은행은 환은모기지서비스 1곳에 대출 업무를 위탁 운용하고 있다.
반면에, 모집 조직을 직접관리하거나 모집인 제도를 폐지한 은행도 있다. 한국씨티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은 지난해 12월 대출 모집인과 내부 직원 등에 의해 고객 정보가 13만여건 유출된 뒤 대출 모집인 제도를 없애거나 은행 조직으로 흡수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부터 시중은행 등을 중심으로 대출 모집인 폐지를 지도하고 있으며, 일부 은행은 실제 대출 모집인을 통한 신용대출을 중단하기도 했다.
당국은 올해에도 대출 모집인 의존도가 가장 큰 지방은행과 외국계은행에 대해서도 지도에 나서는 등 지속적으로 모집인 폐지·축소를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