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12년만에 최대 증가폭으로 1월에 이어 고용시장 회복세를 이갔다.
2월 실업률은 4.5%로 작년 같은 달보다 0.5%포인트 상승했고, 실업자 수는 117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8만9천명(19.1%) 증가했다. 실업자 수가 100만명을 넘은 것은 2012년 2월 이후 2년만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2월이 구직시즌인데다 지난달 9급 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채용 절차가 시작되면서 구직자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게 실업률 상승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0.9%로 작년 같은 달의 9.1%보다 1.8%포인트 증가했다. 2000년 1월(11.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로 본 고용률은 58.6%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상승했다. 남자는 70.1%, 여자는 47.6%로 작년 같은달보다 각각 1.5%포인트와 1.3%포인트 높아졌다.
연령별 취업자 수는 20대가 작년 2월보다 2만2천명 늘어 여섯달째 증가세를 이었다. 40대는 10만9천명, 50대는 35만7천명, 60세 이상은 22만8천명 각각 늘었다.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18만2천명, 5.0%), 숙박 및 음식점업(14만6천명, 7.6%), 제조업(13만5천명, 3.3%) 등에서 호조세를 보였다.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2만9천명, -2.2%)은 감소했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23만6천명, 4.9%)와 사무종사자(16만4천명, 4.0%), 단순노무종사자(12만1천명, 4.1%) 등은 증가한 반면 관리자(-2만명, -4.6%)는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가 1천829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80만3천명(4.6%) 늘었다. 상용근로자가 63만5천명(5.6%), 임시근로자가 9만9천명(2.1%), 일용근로자가 7만명(4.9%) 각각 증가했다.
자영업자는 작년 한해 감소하다가 지난 1월 미미한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2월에 다시 1만2천명(-0.2%) 감소했다. 반면 무급가족종사자는 4만4천명(4.3%) 늘어나 비임금근로자 전체는 652만3천명으로 3만2천명(0.5%) 증가했다.
취업시간별로는 36시간 이상 취업자가 2천69만9천명으로 728만5천명(54.3%) 늘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366만7천명으로 629만7천명(-63.2%) 감소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3.7시간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7.0시간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