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아베노믹스 일본 사상 최대 무역적자… 한국은 최대 무역 흑자

 

일본이 아베 신조 정부의 엔저 정책(일명, 아베노믹스)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사상 최대의 무역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한국은 사상 최대의 흑자를 기록했다.

 

17일 산업연구원의 '최근 엔저 이후 한·일 교역비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일본의 무역수지는 역대 가장 많은 1천176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엔저 정책으로 한국의 수출 피해가 우려됐으나, 오히려 한국이 오히려 441억 달러의 사상 최대 무역흑자를 달성했다.

과거 엔저 시기에 한국의 무역흑자가 급격히 위축된 것과 다른 모습으로 한국의 무역흑자가 엔저 영향으로 2004년 294억 달러에서 2007년 146억 달러로 줄어든 것과 대조된다.

대신에, 일본은 역대 가장 많은 1천176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일본 기업들이 제품 단가를 내리기보다 이익을 늘리는데 치중한 가운데 제조업 경쟁력 하락으로 수출이 부진하게 되어 지난해 엔저로 가격 경쟁력이 커졌지만 달러 기준 수출액은 10.5% 감소했다.

게다가 일본은 전기전자 제품과 자동차의 해외생산 비율이 40%를 넘어 엔저 효과를 크게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기에 과거와 다르게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 되었다. 한국은 주력 산업의 수출 경쟁력이 개선되면서 과거보다 엔저의 부정적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 일본의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가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폭을 키웠는데, 지난해 반도체 수출의 경우 일본은 13.0% 급감했으며, 자동차(부품 포함) 수출도 일본은 7.4% 줄었다. 반면에 한국은 반도체 수출이 12.7% 급증했고, 자동차(부품 포함) 수출도 3.9% 늘었다.

여기에 중국시장에서 영토 분쟁에 따른 반일 감정으로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하면서 한국산 제품이 반사이익을 얻은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 지난해 중국 수입시장에서 9.24%의 점유율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일본(8.19%)을 제치고 중국의 최대 수입국으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