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은 한적한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 |
[재경일보 박성규 기자] 소비와 설비투자의 위축으로 가계는 자금 잉여가 늘고 기업은 자금 부족 규모가 줄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1분기 중 자금순환(잠정)'을 보면 가계(비영리단체 포함)는 소비 지출이 소득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인 영향으로 자금잉여 규모가 전분기 15조6천억원에서 올해 1분기 25조3천억원으로 늘어났다.
가계의 금융기관 차입 증가액은 전분기 25조2천억원에서 3조3천억원으로 크게 둔화됐다.
반면, 자금운용에서 예금은 같은 기간 13조6천억원에서 17조7천억원으로 늘고 주식 및 출자지분은 5조1천억원 감소에서 4조2천억원 증가로 전환됐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 위축이 지속된 데다 상여금 등 계절적인 요인까지 겹쳐 가계의 자금잉여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기업(비금융법인기업)은 설비투자 부진 등 영향으로 자금 부족 규모가 전분기 8조9천억원에서 올해 1분기 6조4천억원으로 축소됐다.
다만, 기업의 자금조달에서 금융기관 차입은 회사채 발행 등 직접금융이 위축된 영향으로 전분기 4조8천억원 감소에서 27조원 증가로 돌아섰다.
정부는 재정 조기집행을 위한 국채 발행과 한은 차입금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전분기 15조원 자금 잉여에서 올해 1분기 8조원 자금 부족으로 바뀌었다.
올해 1분기 말 현재 가계, 기업, 정부의 금융부채는 총 4천196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말보다 86조1천억원이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인 1천428조3천억원의 3배에 육박하는 규모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