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무서운 확산세에 경기 침체 우려가 점점 현실화하자 각국은 대대적인 부양책을 내놓으며 총력 대응을 하고 있다.
19일(현지시간) 오후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사이트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유럽 내 누적 확진자는 10만 명을 훌쩍 넘어섰다. 누적 사망자도 5천 명에 육박했다.
진원지인 중국의 누적 확진자(8만928명)와 누적 사망자(3천245명) 수를 넘어섰다.
국가별로 유럽에서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심한 이탈리아는 누적 확진자가 4만1천35명, 누적 사망자는 3천405명에 달했다.
이어 스페인의 누적 확진자가 1만7천395명, 누적 사망자 803명으로 집계됐다. 다음으로 독일(1만4천602명), 프랑스(1만995명), 스위스(3천944명), 영국(3천269명), 네덜란드(2천460명), 오스트리아(2천13명) 등의 순으로 누적 확진자가 많았다.

▲대대적 재정·금융 정책=코로나19에 따란 경제적 타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공격적인 재정·금융 정책을 잇달아 발표했다.
독일 연방 정부는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와 소기업을 돕기 위해 400억 유로(약 55조3천억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자영업자와 10명 이하의 직원을 둔 소기업에는 직접 보조금 형태로 100억 유로(약 13조8천억원)를 직접 지급하고, 300억 유로(약 41조5천억원)를 대출 형태로 지원할 계획이다.
독일이 정책적으로 유지해온 재정 균형 원칙이 사실상 깨지는 셈이지만, 코로나19로 독일의 올해 경제총생산이 전년 대비 최대 6%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극약 처방을 내놓은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대기업의 지분을 정부가 대거 인수하는 방안도 나왔다.
프랑스 정부가 지분을 일부 보유한 주요 대기업들은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따라 사업장을 줄줄이 폐쇄했고, 주가도 연일 폭락하면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상태다.
브뤼노 르메르 재정경제부 장관은 프랑스 앵테르 라디오에 출연해 "시장에서 중대한 위협에 직면한 주요 산업 부문의 기업을 위해 모든 선택지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있다"면서 "(정부의) 지분 인수나 국유화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덴마크 정부는 소규모 업체 지원에 58억 달러(약 7조4천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은 기준금리를 기존 0.25%에서 0.1%로 0.15%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지난 11일에 기준금리를 기존 0.75%에서 0.25%로 0.5%포인트 전격 인하한 데 이어 또다시 내린 것이다.
0.1%는 영국 기준금리 역사상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영란은행은 "코로나19 확산과 이를 막기 위한 조치는 경제에 급격하고 큰 충격을 가할 것"이라며 "이는 단기에 그쳐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