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삼성전자, 5G 화웨이 미중 갈등에 반사이익 기대↑

삼성전자의 5G 네트워크 장비가 미국이 중국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옥죄기에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란 보도가 나왔다.

27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정학적 충돌이 5G 통신장비 분야 세계 4위인 삼성에 이 분야 세계 시장 진출을 확대할 커다란 기회를 주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장조사업체 델오로에 따르면 삼성의 5G 시장 점유율은 13%로 화웨이, 에릭슨, 노키아에 이어 4위다.

WSJ는 중국이 화웨이 퇴출 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상위 업체들을 보복 타깃으로 여길 가능성을 지적하며 삼성의 반사이익 가능성을 점쳤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이 잇따라 자국 5G 네트워크 구축사업에서 화웨이를 배제하고 다른 유럽 국가들도 비슷한 조치를 검토 중에 있다.

삼성 - 화웨이 5G 시장 경쟁

경쟁사들과 달리 삼성은 중국에서 통신장비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상호 보복의 고리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한국과 베트남에서 5G 통신장비를 만들고 있다.

삼성은 최근 8개월 동안 캐나다와 뉴질랜드를 포함해 4건의 5G 네트워크 장비 공급 계약을 새로 체결했다.

최근 삼성은 유럽의 몇몇 통신사들과 5G 등 네트워크 장비를 공급하는 방안을 주제로 논의 중이다.

통신 분야의 애널리스트들은 삼성의 5G 판매가 향후 나아질 수 있다고 WSJ에 밝혔다.

WSJ은 한국이 미국, 중국과 모두 상대적으로 좋은 관계를 맺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유럽 시장의 경우 화웨이를 배제하더라도 에릭슨과 노키아가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누리는 곳이어서 삼성의 진출이 쉽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WSJ이 내다봤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러한 반사이익 기대감에 주가가 사흘째 상승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8일 오후 3시 40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5.40%(3천 원) 오른 5만8천600원을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