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코리아는 모바일 앱 생태계 상생을 논의하는 '앱 생태계 상생 포럼'을 출범한다고 6일 밝혔다.
구글에 따르면 생태계 상생 포럼 의장은 서울대학교 자율전공학부 장대익 교수가 맡았다. 또 이성구 기업소비자전문가협회(OCAP) 이사장 등 학계, 업계, 소비자, 법률 및 미디어 관련 전문가 등 10여 명이 참여한다.
장대익 의장은 "앱 생태계 내 다양한 참여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구글코리아의 강한 의지를 느꼈다"며, "객관적인 관점에서 대한민국 앱 플랫폼 생태계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앱 생태계 내 참여자 및 관계자들과 투명하고 활발하게 소통해 생태계 상생을 위한 초석을 다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희선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글로벌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장과 함께 국내에서도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플랫폼 사업들이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생태계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플랫폼 사업자, 개발자, 이용자 모두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건설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했다"며 참여의 이유를 밝혔다.
이성구 기업소비자전문가협회(OCAP) 이사장은 "모바일 앱 생태계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더욱 나은 혜택을 보장받고,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개진해 생산적 논의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말하며, "생태계 참여자들간 투명한 소통과 공감을 최우선으로 하여 적극적 활동을 펼쳐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구글 측은 "생태계 내 상호 밀접하게 연관된 참여자들과 소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각계각층의 외부 전문가를 통해 앱 생태계 참여자들의 다양한 입장을 경청하고, 이를 통해 대한민국 앱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상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됐다"고 밝혔다.
포럼은 격월 정기회의를 통해 개발사 지원, 이용자 편의 등과 관련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앱 생태계 내의 다양한 참여자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구글코리아 존 리 사장은 "앱 생태계 내 다양한 목소리를 경청하고 상생 방안에 대한 각계각층 전문가 의견을 듣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소통과 공유의 자리를 만들어보자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앱 생태계 상생 포럼에 참여해주시는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포럼의 지원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모바일 앱 생태계의 건강한 상생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정치권선 구글 인앱 결제 강제 방지 법안 발의
정치권에서는 구글의 인앱 결제에 대한 방지법안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홍정민, 조승래, 한준호, 국민의힘 박성중, 허은아 의원, 조명희 의원등이 구글 결제방식 강제에 대한 규제 성격을 갖는 개정안을 발의했다.
국민의힘 조명희 의원은 "콘텐츠 업체들은 플랫폼 수수료를 소비자 가격에 반영해야 해 전체 콘텐츠 가격이 상승하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면서 "구글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소비자들의 해지·환불 등에 관한 분쟁사례 증가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구글은 지난 9월 29일 자사 앱 장터에서 팔리는 모든 앱과 콘텐츠의 결제 금액에 30% 수수료를 적용하는 인앱결제 확대 정책을 발표했다. 구글은 그동안 게임 분야에만 인앱결제를 강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