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과 SK그룹이 수소동맹을 맺은 가운데 글로벌 수소시장 선점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일 SK인천석유화학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양 그룹은 수소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탄소 중립 달성의 필수적인 요소라는데 공감하고, 수소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서기로 했다.
정 회장은 "SK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수소의 생산, 유통, 활용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는 건전한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고,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통한 수소 사회의 실현을 한 발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SK는 수소의 생산과 유통, 소비까지 수소 밸류체인(가치사슬) 전반을 구축하고 수소차 제조 기술을 보유한 현대차가 수소차를 적기에 공급하는 등 양사의 협력 체계를 통해 국내 수소경제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그룹은 ▲SK그룹 사업장에서 운영 중인 차량 1천500여대를 현대차가 생산한 수소전기차로 전환하는 방안과 ▲올해 말까지 인천·울산 지역에 상용차용 수소충전소 설치 ▲전국 SK 주유소 등에 수소 충전소와 전기차 급속 충전기(200kW급)를 설치하기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양 그룹은 포스코그룹과 함께 국내 기업간 수소 사업 협력을 위한 최고경영자(CEO) 협의체인 '한국판 수소위원회(K-Hydrogen Council)' 설립을 상반기 중 추진할 계획이다.
재계 2, 3위로 수소 사업에 적극 투자하고 있는 두 그룹이 사업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협력 분야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나서면서 수소 생태계 구축이 한층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 그룹은 글로벌 수소 시장 선점하기 위한 속도전도 한창이다.
◆ 현대차그룹, 해외 첫 수소생산기지 'HTWO 광저우' 기공식
현대차그룹은 2일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과 중국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 위에슈국제회의센터를 온라인 화상으로 연결해 'HTWO 광저우' 기공식을 했다.
중국은 한국, 미국, 유럽과 함께 현대차그룹의 수소사업 4대 주요 거점 중 한 곳이다.
중국 행사장에는 리시(李希) 광둥성 서기와 마싱루이(馬興瑞) 광둥성장, 홍성욱 주광저우 대한민국 총영사 등이, 한국에서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참석했다.
100% 현대차그룹 지분인 HTWO 광저우는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수소 사업을 본격화하고 수소 산업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 건설하는 해외 첫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생산 공장이다.
HTWO 광저우는 2022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광저우개발구에 건립된다. 20만7천㎡ 규모의 부지에 연료전지시스템공장과 혁신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연간 생산 목표는 총 6천500기다. 현대차그룹은 향후 중국 시장 상황과 중앙 정부 정책을 고려해 공급 물량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HTWO 광저우 설립과 함께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다양한 모빌리티와 산업 분야의 동력원으로 확대해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 SK그룹, 플러그파워와 아시아 합작법인 설립
SK그룹은 SK(주)·SK E&S가 최대주주로 있는 글로벌 선도 수소 기업 플러그파워와 아시아 합작법인(JV)을 설립해 아시아 수소 시장에 공동으로 뛰어든다.
아시아 JV는 2023년까지 연료전지, 수전해 설비 등 수소 사업 핵심 설비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생산기지를 국내에 건설하고, 여기서 생산되는 설비의 공급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춰 국내와 아시아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국영 전력회사와 함께 청정 수소 생산과 연료전지 발전 분야 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상용차 제조기업과도 협력 관계를 구축해 차량용 연료전지를 공급한다는 전략이다.
플러그파워는 최근 유럽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어 SK와의 시너지가 기대된다.
플러그파워는 최근 프랑스 완성차 기업 르노, 스페인 최대 신재생에너지 기업 악시오나와 잇달아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SK㈜ 관계자는 "SK가 보유한 국내외 에너지 인프라와 사업 역량, 글로벌 네트워크와 플러그파워의 수소 사업 포트폴리오, 기술력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글로벌 수소 시장에서 경쟁력을 극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