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일본 소비자물가 41년 만에 최고, BOJ 압박

기업들이 가계에 더 높은 비용을 부과하면서 지난 1월 일본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중앙은행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23일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치솟는 연료와 생필품 가격때문에 가계가 타격을 입었지만, 이들 중 상당수 가구는 인상된 생활비를 상쇄시키기에 임금 인상이 충분치 않아 정책 입안자들이 딜레마에 직면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변동성이 큰 식품 비용을 제외하고 에너지 비용을 포함한 지난 1월 전국 핵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4.2% 상승해 시장 예상과 일치했고, 작년 12월 연간 4.0% 상승폭보다 더 가속화됐다.

1월의 상승폭은 중동 유가 위기로 연료비가 급증하며 수입 의존적인 일본 경제에 타격을 입혀 1981년 9월 이후 가장 빠른 증가폭이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핵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속적인 연료 및 원자재 가격 상승을 대부분 반영하며 이 지수는 현재 9개월 연속 일본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를 초과했다.

BOJ
[AFP/연합뉴스 제공]

SMBC닛코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루야마 요시마사는 "인플레이션은 아마도 1월에 정점을 찍을 것이지만 당분간 BOJ의 목표치인 2% 아래로 내려가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여전히 식량과 연료비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상승이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신임 가즈오 우에다 총재가 BOJ의 수익률 통제 정책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에 직면했다며, 시장이 강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BOJ가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다고 예측하며 BOJ의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의회의 승인을 받으면 우에다 총리는 오는 4월 임기가 끝나는 현직 총재 하루히코 구로다의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된다.

4월 28일 우에다의 첫 정책 회의에서 BOJ는 2025 회계연도까지의 인플레이션 예측을 처음으로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경제는 지난해 4분기 불황을 피했지만, 기업 투자가 극감하면서 예상보다 훨씬 덜 회복됐다.

가계 소비가 생활비 상승 압력에도 불구하고 유지되고 있지만,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일본이 코로나 팬데믹 타격에서 늦게 회복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Stat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