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가운데 상용직 비중이 60%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0년 고용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취업자 수(전업환산기준)는 2천444만명으로 2015년(2천483만명)보다 1.6% 감소했다.
고용표상 취업자는 상용 및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 종사자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전업환산기준 근로 시간을 40시간에서 36시간으로 낮추고, 군인의 범위에 사병,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등을 추가한 것이 이번에 작성된 신규 고용표의 특징이다.
취업형태별로는 상용직을 중심으로 임금근로자 비중이 73.6%에서 74.4%로 상승하였으며, 성별 비중은 남 61.0%, 여 39.0%로 2015년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 취업자를 보면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이 2015년 71.0%에서 2020년 71.1%로 0.1%p 늘어난 반면, 공산품 부문 비중은 16.3%에서 15.1%로 줄었다.
서비스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양방향으로 나타나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는 6.3%에서 7.5%로 증가했고 도소매 및 상품중개 서비스는 14.2%에서 12.9%로 1.3%p 감소했다.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79.3%→76.5%) 등 일부 부문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상용직 임금근로자 비중은 51.9%에서 58.2%로 6.3%p 확대됐다.
특히 상용직 비중이 도소매 및 상품중개 서비스는 34.0%에서 45.8%로 11.8%p 늘었다.
또 부동산서비스는 37.5%에서 49.1%로 11.6%p 확대됐다.
2020년 주요국의 산업별 취업구조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은 비교대상국(한·미·일·독·영) 중 가장 높고 서비스업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계수는 2015년 6.5명에서 2020년 5.4명으로 1.1명 줄었다. 특히 서비스업 취업계수가 10.2명에서 7.7명으로 크게 내렸다.
취업계수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로, 경제 성장에 따라 취업자가 얼마나 늘어났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취업유발계수도 5년 사이 11.7명에서 9.7명으로 2.0명 하락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최종 수요가 10억원 발생할 경우 해당 상품을 포함한 모든 상품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를 의미한다.
품목별로는 섬유 및 가죽제품(10.6→7.9명), 목재 및 종이, 인쇄(10.6→8.9명), 도소매 및 상품 중개 서비스(19.6→13.5명), 사업지원 서비스(19.4→13.8명) 등의 취업유발계수가 크게 하락했다.
최종수요 항목별 취업유발계수를 보면 2020년 기준 소비가 11.7명으로 가장 높았고, 투자가 9.1명, 수출이 6.6명 순이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소비(14.6→11.7명)에 의한 취업유발 효과가 가장 크게 줄었다.
2020년중 우리나라 총 취업자 수(전업환산기준 )는 2444만명으로 2015년(2483만명)과 비교하면 1.6%(-39만명) 감소했다.
임금근로자 수는 1818만명으로 2015년(1827만명)에 비해 0.5%(-9만명) 줄었다.
취업형태별 비중은 임금근로자 74.4%, 자영업자 및 무급가족종사자 25.6%이며 2015년(각각 73.6% 및 26.4%) 대비 임금근로자 비중이 0.8%p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