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신학기부터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가 전격적으로 보급되는 가운데 정부가 일부 과목의 도입 여부와 시기를 조정했다.
국어는 초중고 모두 도입이 전면 보류됐고, 초등학교 사회(역사)·과학, 중학교 과학은 도입 시기를 당초 예정보다 1년 늦춘 2027학년도로 늦췄다.
다만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수학과 영어, 정보 과목은 예정대로 내년부터 도입한다.
교육부는 29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의 'AIDT 도입 로드맵 조정안'을 발표했다.
조정안에 따르면 2026학년도부터 도입하기로 했던 초등학교 국어, 실과와 중학교 국어, 기술·가정은 '적용 제외' 과목에 포함됐다.
국어 교과와 기술·가정(실과) 교과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적용 교과에서 제외하고, 사회, 과학 교과는 2027년부터 적용한다.
고등학교 사회(한국사)와 과학은 예정대로 2028학년도 도입될 예정이다.
또한, 국정도서로 개발하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국어와 수학 교과는 초·중·고까지 개발하고, 생활영어와 정보통신활용 교과는 적용 교과에서 제외한다.
앞서 교육부는 2026학년도 초등학교 국어, 사회(역사), 과학, 실과와 중학교 국어, 과학, 기술·가정, 2027학년도 중학교 사회(한국사), 2028학년도 고등학교 국어, 실과, 사회(한국사), 과학에 AIDT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교육계 안팎에서 디지털 과몰입 우려, 문해력 저하, 예산 부족 등 반발의 목소리가 계속되자 도입 과목은 물론 도입 시기 조정에도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속도 조절'에는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의 견해도 적잖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교육감협의회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교과목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교육부에 전달한 바 있다.
교육부는 AIDT 도입 계획을 조정한 배경에 대해 교육현장, 전문가 의견과 시도교육청의 정책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일단 AIDT 생태계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교과 과정상 위계가 있고 AIDT 도입의 효과가 분명한 과목부터 먼저 안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AIDT의 연착륙을 위해 올해 상반기 1만여명의 '교실혁명 선도교원'을 양성하는 한편,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하반기에는 15만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연수를 추진 중이다.
아울러 학교의 디지털 기반 시설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특히 12월부터는 검정을 통과한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대상으로 ▶‘선정 평가기준’에 기반해 어떤 교과서가 교육적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지 학교가 선정할 수 있도록 연수를 지원하고, ▶학교가 교과서를 선정한 이후에는 선정한 교과서를 활용한 학생 참여중심 수업설계 실습 연수를 통해 교사가 어떻게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교육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을지 집중 연구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육부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학교의 디지털 기반시설(인프라)도 적극 개선 중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2025학년도 AIDT 적용 학년은 디바이스(기기)를 완비했고, 시도교육청과 함께 내년 2월까지 전국 학교의 디바이스·네트워크를 점검·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사의 디지털 기반 시설 관리 부담 완화를 위해 '디지털 튜터'를 학교에 총 1천200명 배치하고, 교육(지원)청별 '테크센터'도 운영할 방침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앞둔 지금은 디지털 기술을 지혜롭게 사용하여 잠자는 교실을 깨울 때이다"라며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가 처음 도입되어 선생님들께 여러 어려움이 있겠지만 교실과 학교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골든타임에 힘을 모아주시길 바라며, 교육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