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LG전자, 美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AI 로봇’ 박차

LG전자가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경영권을 확보하며 미래 먹거리 개발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지난 22일 이사회에서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30%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 행사를 의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베어로보틱스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2017년 설립됐으며,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수의 로봇 운영을 최적화하는 ‘군집제어 기술’ 등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 산업에서 혁신적인 경쟁력을 입증하면서 지난해 3월에는 LG전자가 베어로보틱스에 약 800억 원을 투자해 지분 21%을 취득한 바 있다.

당시 지분 인수 외에도 추가로 30%의 지분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 계약을 함께 체결했는데, 이번에 콜옵션이 통과되면서 최종적으로 LG전자의 지분율은 51%가 될 전망이다.

베어로보틱스의 자율주행 AI 배송로봇 '서비플러스' [LG전자 제공]
베어로보틱스의 자율주행 AI 배송로봇 '서비플러스' [LG전자 제공]

지분이 50%를 넘게 되면 경영권을 완전히 가져오기에 향후 베어로보틱스는 LG전자의 자회사로 편입된다.

향후 LG전자는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스마트팩토리 사업의 주축인 산업용 로봇은 AI와 DX(디지털 전환) 기술과 접목하면서 조 단위 매출성장을 이끌고 있다.

일례로 자율주행 수직다관절로봇은 카메라·레이더·라이다에 이르는 복합 센서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며, 자재를 공급하는 동시에 로봇 팔로 조립과 불량검사 등이 가능해 다양한 작업의 자동화를 가능케 한다.

최종적으로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로봇을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 플랫폼을 구축해 각기 다른 로봇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모두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LG전자 관계자는“현재 집중하고 있는 F&B·물류 배송용 로봇을 넘어 이동형 AI홈 허브 등 가정용 로봇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또 “상업·산업·가정 등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나가겠다”라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