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美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에 주요국 대응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한다는 행정 명령에 서명한데 대해 주요국들의 관련 대응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도 검토한다고 덧붙였다.

국제금융센터는 11일 발표한 국제금융 속보에 따르면 미 백악관은 이번 조치의 목적은 중요 산업의 외국 의존도 축소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와 함께 상호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관련 인사들은 이번 조치가 최근의 對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와는 달리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행정부는 이민·마약 등 비무역 이슈와 연계시키는 '징벌적 관세'와 무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구조적 관세'를 구분하고 있다.

구조적 관세의 경우 단순한 협상으로는 회피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은 자국의 빅테크 규제 등을 이유로 EU와 한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도 시사했다.

이는 비무역 이슈에서도 관세를 교섭의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되며, 요구사항 충족 시 관세의 철회 가능성도 존재한다.

트럼프
[UPI/연합뉴스 제공]

유럽연합(EU) 등 여타국은 이에 대한 각국의 입장을 피력했다.

유럽위원회는 부당한 조치로부터 유럽의 기업 및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겠다고 강조했으며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때까지 직접적인 대응은 자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이전에 발표했던 14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에 대한 10~15% 관세 보복을 예정대로 이달 10부터 발효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여전히 미국과의 협상 창구를 열어둔 상태로 이에 시간이 소요될 수는 있으나 결국 양국 간
무역갈등이 극단적 상황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다소 많은 편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이외의 국가들은 대부분 미국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인도는 13일부터 열리는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전자제품 등 최소 12개 부문에서 관세인하를 검토하고 있고, 미국과 미니 자유무역협상도가능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또한 무기 등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도 추진한다.

대만의 경우 경제단이 이달 11일 미국을 방문하는데, 미국 측 요구 사항을 청취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