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함께 일·가정양립 우수기업 간담회를 가졌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KB국민은행 본점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 및 KB국민은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KB국민은행은 일과 가정의 양립 및 저출생 문제 해결에 앞장서기 위해 다양한 임직원 복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출생 장려금 지원 ▲난임 의료비 지원 강화 ▲배우자 출산 휴가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이용 활성화 ▲육아를 위한 재채용 조건부 퇴직제도 등 임직원의 개별적 상황에 적합한 탄력적인 근무 환경 및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
출생 장려금의 경우 자녀 1명당 최대 2000만원이 지원된다. 첫째 1000만원, 둘째 1500만원, 셋째 이후 2000만원이 지급된다. 본인 또는 배우자 난임 치료 시 1000만원이 지원되며 배우자 출산휴가도 10일에서 20일로 확대됐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도 신청 대상을 기존 9세 이하에서 12세 이하 자녀 부모 직원으로 완화해 직원들의 육아 부담을 경감시켰다.
또한 2023년말부터 금융권 최초로 재채용 조건부 퇴직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2년의 육아휴직 기간을 모두 사용한 직원을 대상으로 퇴직 시 3년 후 재채용 기회를 제공해 총 5년의 육아 기간을 보장하는 제도다. 재채용 시 별도 채용 절차 없이 퇴직 전 직급이 유지 돼 경력 단절 또한 해소할 수 있다.
주 부위원장은 "KB국민은행과 같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혁신적으로 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이 많아져야 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실질적인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저출생 문제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고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라며 "앞으로도 KB국민은행은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를 만들고, 저출생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일·가정 양립 우수기업을 방문해 임직원을 격려하고, 저출산 정부 정책방향 설명 및 건의사항을 청취해 효과적인 정책을 발굴하고 있다.
한편, KB금융그룹은 거점형 늘봄센터 확대를 통해 저출생 해소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 2018년부터 총 1250억원을 지원해 전국 2265개 국공립 병설유치원 및 초등돌봄교실을 신·증설했고 2027년까지 전국 48개의 거점형 늘봄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