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4월 5대 은행 연체율 또 올라…이자 부담, 하반기 본격적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3년간 급증한 대출과 작년 하반기까지 이어진 금리 상승의 여파가 시차를 두고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시중은행의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업대출에 이어 가계대출 연체율까지 크게 뛰어 각 은행에서 '3∼5년 내 최고 수준' 기록이 잇따르고 있다.

은행들이 부실 대출 채권을 적극적으로 매각하며 지표 관리에 나섰지만, 연체율 급등을 막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저축은행·카드사 등 2금융권의 연체율도 치솟고 있어 올해 하반기 '대출 부실'이 한국 금융·경제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4월 말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평균 0.304%로 집계됐다.

3월(0.272%)보다 0.032%포인트(p) 올랐을 뿐 아니라, 지난해 같은 달(0.186%)과 비교하면 0.118%p나 높은 수준이다.

대출 주체별로 나눠보면 가계(0.270%)와 기업(0.328%) 연체율은 한 달 사이 각 0.032%p, 0.034%p 올랐고 1년 새 각 0.116%p, 0.118%p 상승했다.

4월 5대 은행의 신규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부실 대출채권)비율도 일제히 올랐다. 신규 연체율은 해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대출잔액으로 나눈 것으로, 새로운 부실 증감 추이를 보여준다.

신규 연체율은 평균 0.082%로, 올해 3월과 작년 4월보다 각 0.008%p, 0.04%p 높아졌다. 고정이하여신 비율(0.250%)도 0.008%p, 0.016%p씩 올랐다.

5대 은행 전체 평균 연체율은 공식 시계열 통계가 없지만, 은행별 내부 집계에 따르면 현재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 비율 등은 이미 3∼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은행권도 예상보다 빠른 연체율 상승 속도와 특히 소상공인 등 중소기업에 이어 최근 가계대출 연체율 오름세가 갈수록 뚜렷해지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은행
[연합뉴스 제공]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부실 대출에 더 취약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연체율 상황은 더 심각하다. 이미 약 6∼7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러 '2금융권발 금융위기'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5.1%로, 지난해 말(4.04%)보다 불과 3개월 사이 1.1%p 올랐다. 이 비율이 5%를 넘어선 것은 연말 기준으로 2018년(5.05%)이 마지막이다.

저축은행업계의 올해 1분기 연체율도 5.1%로 잠정 집계됐다. 5%를 웃도는 연체율은 2016년 말(5.83%) 이후 약 6년여만에 처음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중·저신용자 차주의 어려움이 커지면서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非)은행 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의 기업 대출은 2019년 4분기 357조2천억원에서 작년 4분기 652조4천억원으로 82.6%나 불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직전 분기(1.81%)보다 0.43%p 올라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

업권별 연체율은 ▲ 저축은행 2.83% ▲ 상호금융 3.30% ▲ 보험사 0.15% ▲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털 등) 1.01%로 집계됐다. 상호금융의 경우 2020년 1분기(3.19%) 이후 처음 작년 4분기 연체율이 3%를 넘어섰고,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도 2019년 3분기(1.16%) 이후 가장 높았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가 소비, 투자, 주택가격 등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데 반년에서 길게는 1년의 시차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 견해"라며 "올해 상반기에는 고금리 여파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았고, 하반기부터 드러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