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오바마, '부실 모기지채권'에 2759억달러 투입

미국 정부는 18일(현지시간) 주택가격 급락과 신용경색으로 주택압류 사태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2750억달러를 투입해 부실모기지채권을 인수키로 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애리조나주 피닉스 인근 메사(Mesa)에서 900만명에게 주택담보대출 상환부담을 낮춰주고 집을 차압당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주택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주택보유자 안정화 대책(HSI-Homeowner Stability Initiative)'은 주택가격 급락으로 집을 팔아도 금융회사로부터 받은 대출금을 상환할 수 없는 주택보유자들을 위해 상환연체 상태에 빠지더라도 집을 압류당하지 않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모기지회사가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은 가계에 대출금 상환조건을 완화해 줄 경우 연방기금으로부터 1천 달러를 지원받으며, 주택을 압류하지 않을 경우 1년에 1천달러씩 3년간 3천달러를 제공받게 된다.

이밖에 대출상환 연체가 발생하지 않은 가계에 대해 상환조건을 완화해줄 경우 최대 2천달러까지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처럼 주택압류를 막고 대출상환 조건을 완화하는데 총 750억달러가 투입된다.

이와 별도로 재무부는 국책모기지회사인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이 보유한 부실 모기지를 최대 2천억달러까지 인수키로 했다.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에 따르면 미국의 5천200만 주택보유자 가운데 27%에 해당하는 1천380만명이 부동산 가격폭락으로 인해 집값이 대출원금을 밑도는 이른바 `깡통 주택' 보유자들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편 이번 주택안정대책은 당초 시장이 예상한 500억달러 규모를 크게 웃돌아 향후 부동산 시장 회복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