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뉴욕마감] GM불확실성 해소 경제지표호전..일제히 상승

미국 최대 자동차회사 제너럴모터스(GM)가 파산신청을 했지만 1일(현지시각) 미 증시는 급등세를 기록했다.

GM의 파산보호 신청으로 오히려 불확실성이 제거됐고, 미국의 경제지표가 호전되는 모습을 보이며 경기 회복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또 중국도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는 지표가 발표됐다.

이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21.11포인트(2.60%) 오른 8721.44를 기록하며 지난 1월 8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S&P500지수는 23.73포인트(2.58%) 상승한 942.87로 마감하며 작년 11월 5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도 54.35포인트(3.06%) 오른 1828.68로 장을 마치며 작년 10월 13일 이후 최고치에 올랐다.

이날 GM은 뉴욕 맨해튼의 연방 파산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 다우지수 구성 종목에서 퇴출당했다. 정부 구제 자금을 받으며 사실상 국유화된 씨티그룹도 다우지수에서 제외됐다.

GM의 파산보호 신청 관련 소식은 파산신청이 기정사실화됐던 만큼 부정적 영향보다는 "최악은 지났다"는 분위기를 확산시키며, 오히려 시장을 안정시키는 쪽으로 이어졌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제조업 경기가 호전되고 있다는 소식이 미국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5월 제조업지수는 42.8을 기록, 전문가들이 예상한 42.3을 웃돌며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신규 주문 지수는 51.1을 기록하며 전달의 47.2에서 급등, 2007년 11월 이후 처음 50을 넘어 제조업의 회복이 시작되고 있다는 기대감을 키웠다. ISM 지수는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을, 밑돌면 위축을 의미한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던 미국의 4월 건설투자도 전달보다 0.8%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미국 상무부는 4월 개인소비지출은 전달보다 0.1% 줄었다고 밝혔지만 이는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나은 수치였고, 개인소득은 전달보다 0.5% 늘었다.

이와 함께 중국 물류협회는 이날 지난달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3.1을 기록했다고 밝히며, 경기의 확장과 수축을 판가름하는 기준인 50을 3개월 연속 넘어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