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OECD, 한국 경기회복 가장 빨라 ‘이미 바닥 친 듯’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회원국 중 한국의 경기 회복이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했다.

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최근 발표한 경기선행지수(CLI) 보고서에서 한국의 3월 CLI가 전월대비 2.2포인트 상승해 96.8을 기록했다며 29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CLI는 산업활동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통 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로 쓰인다.

주로 CLI가 100 이상에서 증가하면 경기 팽창을 의미하고, 감소하면 경기 하강을 뜻한다. 100 이하에서 CLI가 증가하면 경기 침체에서 회복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의 CLI는 작년 4월 100.4까지 기록했으나 리먼 사태이후 경기가 급락하면서 10월에는 90.7, 11월에는 90.8, 12월 91.4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1월에는 CLI가 92.7를 기록하더니 2월에는 전달보다 1.9포인트나 상승하며 94.6를 기록해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한국의 CLI는 2월대비 2포인트 이상이 상승해 29개 회원국 중에 압도적인 속도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CLI가 6개월 뒤의 경기를 예측하는 것으로 고려할 때 한국은 5월 경기가 이미 바닥을 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OECD 회원국의 전체 평균 CLI가 전달에 비해 0.2포인트 떨어져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OECD 관계자는 "프랑스와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 회복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이 아직 경기 하강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