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내년 고용 대책 "4대 고객에 집중"

내년부터 정부가 청년과 근로빈곤층, 여성, 베이비붐 세대 등 고용문제 해결에 집중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노동부는 14일 서울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에서 2010년 서민ㆍ고용분야 합동 업무보고회를 개최, 이명박 대통령에게 내년도 업무추진계획을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내년부터 대학 150곳, 전문계고 50곳에 '취업지원관'이 배치된다. 취업지원관은 해당 학교의 고용지원센터에서 일하면서 취업 준비생의 진로지도 자문과 취업 상담에 응하고 구직자와 구인 기업을 연결해 주는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담당한다.

이를 위해 노동부 일자리 사이트인 워크넷에 대졸자·전문계고 80만명, 우수 중소기업 6만곳의 데이터베이스가 확보된다.

근로 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취업 성공 패키지 사업' 지원규모는 올해의 2배인 2만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저임금 실직 근로자에는 '취업주치의'(가칭)를 지정해 취업 때까지 1대1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 정부는 향후 9년 내 1995∼1963년생 베이비붐 세대 712만명이 집중 퇴직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 우선 이들이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임금 피크제 보전수당 요건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임금피크제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내년부터 노(勞)·사(使)·민(民)·정(政)의 사회적 논의가 시작된다.

여성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출산 육아기에 겪는 애로사항 해소가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파트타임 정규직 제도를 활용키로 했다.

아울러 노동부는 중앙정부 중심으로 운영되던 기초·광역지자체장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별 일자리 공시제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시군구별로 주기적으로 일자리 수를 조사해 통계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자체장은 임기 중 일자리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고용대책을 공표하는 것이다.

또 일자리를 중개하는 민간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고자 요금, 파견대상 업무, 서비스 내용 등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임태희 노동부 장관은 "내년에는 노동부의 온 역량을 고용과 관련한 업무에 집중할 것"이라며 "청년과 근로빈곤층, 여성, 베이비붐 세대 등을 4대 고객으로 두고 문제 해결에 집중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