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된 직업 외에 부업을 가진 ‘투잡족’이 점차 늘고 있다.
취업정보업체 인크루트는 전국의 직장인 10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18.2%(195명)가 현재 주된 직업(직장) 외에 다른 부업을 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직장인 5명 중 1명은 이른바 ‘투잡’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인크루트가 2009년에 같은 조사를 실시했을 때 투잡족의 비율이 15.5%로 조사된 것과 비교하면 2.7%p가 늘어난 수치다. 또한 2008년에는 12.9%로 집계된 바 있어 투잡족의 비율은 2년간 5%p 넘게 꾸준히 증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투잡족 중 대부분은 현재 본업을 제외하고 1개(92.3%)의 부업을 하고 있었으나 2개(5.1%), 3개(2.6%)라는 응답도 있어, 투잡족의 8.7%는 멀티잡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이들이 부업을 고르는 가장 큰 기준은 무엇일까. 그 1순위는 ‘시간대가 알맞은가’(39.5%)였다. 모두 주된 직업을 갖고 있는 직장인인 탓에, 일단은 시간적 여유가 있어야 부업 자체가 가능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내가 할 수 있는 분야의 일인가’(19.5%), ‘내가 예전부터 하고 싶어하는 일인가’(14.9%) 처럼 적성이나 흥미를 고려한 기준도 있었다.
또한 수입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에 ‘돈은 많이 벌 수 있는가’(11.8%)도 중요한 기준이 되었고, 그 외에 ‘부업 할 수 있는 여건만 된다면 다른 조건과 기준은 안 따진다’(7.7%), ‘얼마나 힘든 일인가’(2.6%) 등의 답변이 있었다.
부업을 통해 얻는 수입은 주된 직업의 11~20%(35.9%) 수준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10% 미만(22.6%) ▲31~40%(11.8%) ▲41~50%(10.3%) ▲51~60%(8.2%) ▲21~30%(6.7%)가 뒤를 이었다. 하지만 100% 초과(1.5%)라고 답해 주된 직업보다 더 큰 수입원이 되는 부업을 가진 투잡족도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71~80%(1.0%) ▲81~90%(1.0%) ▲61~70%(0.5%) ▲91~100%(0.5%) 순이었다.
직장인들이 부업을 하는 이유로는 ‘물가가 올라 생활비가 부족해져서’(31.8%) 라는 응답이 1순위에 올랐고, ‘수입이 줄어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서’(17.4%)가 뒤를 이어, 경제적 이유가 투잡의 주된 목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기계발을 위해(12.3%) ▲창업 등 다른 준비를 위한 자금 마련(11.3%) ▲퇴직 후 대비를 위해(10.3%) ▲취미와 여가활동을 위해(7.2%) 등 미래를 준비하거나 역량개발·취미활동에 투잡을 활용하는 직장인도 적지 않았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투잡 직장인의 증가추세에 대해 “현대인들의 직업인식이 자아실현이나 사회적 역할 같은 전통적인 직업관보다는 소득의 원천으로서의 의미가 더 강조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아울러 “부업을 고를 때 단기적인 수입증대만을 고려하다 보면 역효과가 날 수도 있는 만큼 건강·생활리듬·흥미와 적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