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중 가계대출이 신협·새마을금고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늘어나며, 플러스로 전환했다.
16일 한국은행은 '2월중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이 8000억원 증가하며 550조5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가계대출이 1조원 준 것에서 플러스로 전환한 것이지만, 큰 폭의 상승세는 아니다.
이재기 한은 금융통계국 과장은 "지난해 연간으로 34조8000억원이 늘었고, 2월에는 2조8000억원 늘어난 것 등을 고려하면 그다지 많이 늘은 것은 아니다"라며 "설 연휴도 있었고 계절적으로 이사 수요가 적어 부동산 쪽의 비수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금은행에서 감소폭이 전월 1조원에서 2000억원으로 축소됐다. 또 상호저축은행·신협·새마을금고·상호금융·신탁·우체국예금 등의 비은행예금취금기관의 가계대출이 1월 1000억원 감소에서 1조원 증가로 전환했다.
특히 비은행예금의 주택담보대출이 8000억원 늘어나며 가계대출 증가를 이끌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한 지방 쪽에서 관련 대출 증가세가 나타나고 있고, 비은행예금 기관이 지방에 위치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과장은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서울 투기지역에서 강화되고, 지방에서는 상대적으로 덜하기 때문에 주로 지방에 위치한 신협, 새마을금고 등에서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나고 있다"라며 "해당 대출은 비은행예금기관을 중심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최근 비은행예금기관에서 안전자산관리 상품 유치 노력이 많은 점도 한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예금은행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이 전월 6000억원 증가에 이어 7000억원이 증가했다. 기타대출은 마이너스통장 대출 등을 중심으로 전월 1조1000억원 감소에서 5000억원으로 감소폭이 축소됐다.
한편, 2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의 가계대출은 서울지역 대출이 증가로 전환되고 인천지역 대출도 확대돼 전월 2000억원 감소에서 6000억원 증가로 전환됐다. 비수도권의 가계대출도 8000억원 감소에서 2000억원 증가로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