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국 고령화 심각… 2045년엔 세계 최고령국가 등극

[재경일보 김시내 기자]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빨라 2045년에는 전체 인구의 평균 연령이 50세에 달해 세계 최고령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노동인구 감소속도는 2020년에는 유럽과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이 다시 한 번 드러난 것.

19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영국 투자은행인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가 18일 발표한 `인구 고령화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돼 2016년부터 노동인구가 줄어 2020년에는 유럽·일본보다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동인구는 2025년까지 매년 1.2% 줄어들고 이후 2050년까지는 연간 2%씩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한국인의 평균연령은 최근 미국을 이미 넘어섰으며 2020년에는 유럽을 앞지르는 데 이어 2045년에는 평균연령이 50세로 세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65세 이상 고령자를 15~64세 노동인구로 나눈 값인 노년부양비는 2020년까지 10년 동안 연 15%포인트씩 증가해 2039년에는 고령자 수가 노동인구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 같은 추세라면 2050년에는 1명의 노동인구가 1.65명의 고령자를 부양해야 하는 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 최고 속도의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2011년 4.2%에서 2023년에는 3.1%로 급격하게 하락하고 이후에는 둔화세가 약화해 2050년에는 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11년 3.4%에서 2023년에 2.6%로 떨어지다가 2050년에는 2.9%로 반등할 것으로 봤다.

특히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확대로 2050년에 노동인구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영국과 비슷한 수준까지 높아지면 잠재성장률과 1인당 GDP 성장률은 각각 0.3%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고령화가 인플레율, 국가재정건전성, 국내자산가격 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저축 감소에 따른 경상수지 악화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축과 투자가 감소해 자산 수요마저 줄어 자산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나 중국 등 여타 국가들의 한국 투자가 확대되면서 국내 자산가격을 뒷받침할 것이라는 관측도 했다.

경상수지는 2018년까지 현 수준을 유지하지만 고령화로 인해서 2034년을 기점으로 적자로 돌아선 뒤 2050년에는 경상수지 적자 비율이 GDP의 4%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